본문 바로가기

나의 성장일지320

인생을 바꾸는 2가지 질문 02 나는 자신이 되고 싶은 사람이 되어가고 있는가? 정체성 변화는 습관 변화의 길잡이다. 변화를 위한 첫 번째 걸음은 '무엇을' 또는 '어떻게'가 아니라 '누구'인 것이다. 우리는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 우리는 자신에 대한 믿음을 변화시킬 힘을 가지고 있다. 매 순간 바꾸고 선택할 수 있다. 즉, 현재 선택한 습관으로 내가 정말로 원하는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습관은 어떤 사람이 '되는 것'이다. 더 나은 습관을 만드는 것은 모든 것을 얻어낼 수 있도록 도와주니만 근본적으로 무언가를 얻어내는 일은 아니다. 습관은 어떤 사람이 '되는 것'이다. 결국 습관은 내가 되고 싶어 하는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습관은 자신에 대해 가장 깊은 믿음을 계발하는 최고의 수.. 2023. 3. 13.
인생을 바꾸는 2가지 질문 01 습관은 정체성을 만들어나간다. 정체성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경험을 통해 습득되고 익숙해진다. 매일 이불과 베개를 정리한다면 체계적 인간이라는 정체성을 만드는 것이다. 매일 글을 쓴다면 창조적인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만드는 것이다. 매일 걷기를 한다면 운동하는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만드는 것이다. 행위를 반복해 나갈수록 그 행위와 관련된 정체성은 강화된다. '정체성'은 'Identity'이라는 영어에서 실재하다(essentitas)와 반복적으로(identidem)에서 파생되었는데 '반복된 실행'이란 의미이다. 현재 나의 정체성은 그동안의 행동으로 알 수 있다. 20년간 매주 일요일 교회에 다녔다면 종교적 인간이라는 증거이다. 매일 1시간씩 독서를 한다면 이는 학구적이라는 증거이다. 날씨가 춥.. 2023. 3. 12.
내가 하는 행동들은 나의 정체성을 반영한다. 의식하던, 안 하던 내가 어떤 사람인지 스스로가 믿는 대로 행동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어떤 유형의 사람이라고 믿는 경우 그 믿음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스스로 '운동하는 사람'이라고 믿으면 단순히 '운동'이라는 행위를 해야겠다고 생각하는 사람보다 더 많이 운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즉 자기의 정체성에 '운동하는 사람'을 장착한 사람은 일부러 운동해야겠다고 결심하지 않는다. 자신의 정체성에 맞는 일을 실행하는 건 쉽다. 그래서 행동과 정체성이 완벽히 조화를 이룬다면 더 이생 행동변화를 따라가지 않아도 된다. 그러면 스스로 그렇다고 믿는 유형의 사람처럼 행동하기만 하면 된다. 나는 이미 부자고, 부자로써 행동해야 할 여러 가지를 하고 있어 이건 오로지 나만의 생각이다. .. 2023. 3. 11.
정체성, 사람을 움직이는 가장 큰 비밀 왜 나쁜 습관은 그토록 반복되고 오래 유지되는가? 왜 좋은 습관을 만들기가 그토록 어려운가? 몸에 안 좋은 밀가루 음식을 먹거나 공부 대신 TV를 선택하여 오래 본다든지, 건강에 안 좋은 흡연을 하는 습관등은 벗어나기 힘들게 느껴진다. 습관을 바꾸기 어려운 이유는 2가지 이유 때문이다. 1. 변화시키고자 하는 대상을 잘못 골랐다. 2. 변화의 방식이 잘못되었다. 이 말을 이해하려면 행동의 변화는 결과 변화, 과정 변화, 정체성 변화의 3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첫 번째 층은 '결과(outcome)'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살을 뺀다거나 책을 낸다는 거 경쟁에서 이기는 것들이다. 우리가 세운 목표는 대부분 이 단계와 연관되어 있다. 두 번째 층은 '과정(process)'를 변화시키는 것이.. 2023. 3. 10.
목표 따윈 쓰레기 통에 던져버리기 원하는 것을 얻으려면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목표를 세워야 한다고 한다. 습관 역시 도달해야 하는 구체적 목표가 있는데 원하는 성적, 사업의 수익목표등 중에 성공한 것은 극히 일부였고 대부분 실패했다고 한다. 그렇게 된 이유는 처음 세웠던 목표와 상관없이 모든 것이 시스템에 달려있다. 즉, 목표는 우리가 얻어내고자 하는 결과이며, 시스템은 그 결과로 이끄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감독의 목표는 챔피언 십을 획득하는 것이다. 그러면 시스템은 선수들을 선발하는 방식, 코치들을 다루는 방식, 실행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겠다. 목표를 생각지 않고 매일 연습에 집중해도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 스포츠에서 목표는 최고의 점수를 달성하는 것이지만 경기 내내 점수판만 응시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실제로 승리하는 유일한.. 2023. 3. 9.
나의 인기, 행복, 자존감은 사람을 다루는 능력에 있다. 나는 사람을 다루는 능력을 배우려 한다. 최근 데일카네기의 '인간 관계론'도 읽고 있다. 세상만사 인간관계로 모든 것이 형성되어 있고, 모든 것이 비즈니스이기에 중요하기에 안 하고 싶어도 안 할 수 없다. 그래서 이 책을 접하면서 지극히 평범하지만 평범하지 않은 인간관계에 대해 많은 것을 깨닫고 되었다. 이를 정리하여 순차적으로 올리면서 나를 또 한 번 성장할 수 있도록 바꾸어 보려 한다. 참고로 미국의 강철왕 '앤드류 카네기(1835-1919)'가 아니라 성이 같은 '데일 카네기(1888-1955)'가 저자인데 사람을 대하는 기술을 전문적으로 터득하고 많은 이들에게 처세, 자기 관리, 화술, 리더십등에 대한 가르침을 주고 있다. 앞으로 이 책으로 활용할 필수 조건을 프롤로그에서 언급하고 있어 간단히 요.. 2023.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