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58

221021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이해 - 가산금리 기준금리에 신용도등의 차이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 (또는 스프레드,Spread)라 한다. ex) 은행이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위험에 따라 조달금리에 추가하는 금리를 말한다. 한편 만기가 길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기간 가산금리(텀 스프레드, Term Spread)라고 하는데 이것도 일종의 스프레드이다. 통상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 즉 스프레드가 커진다. 한편 채권시장에서는 비교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라고 한다. 보통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 때 동일한 만기의 미국 국채(Treasury Bond)나 리보(LIBOR, 런던은행간 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 등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서 발행되는게 보.. 2022. 10. 21.
221020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이해 - 원달러환율, 달러지수 [원달러 환율] 우리나라의 원화와 미국의 달러화의 교환 비율 [달러지수] 1973년 3월 기준 100으로 하여 세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의 평균가치를 비율로 산정해 지수화한 지표 (통화의 비중은 유로화 57.6%, 영국 파운드 11.9%, 캐나다의 달러 9.1%, 스웨덴의 크로나 4.2%, 스위스의 프랑 3.6%) 유로화가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기에, 달러 대비 유로화의 가치가 상승하면 달러지수는 하락하는 구조다. 즉, 달러투자는 미국 경제발전에 베팅하는 투자 ※ 원,달러 환율은 달러의 가격이 아닌, 원화와의 교환 비율이다. 이에 대해 기본 이해가 부족하면 환율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달러와 원화 가치는 물론, 돈의 흐름도 읽기 어렵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원리를 간단히 알아야 할 필요가 있.. 2022. 10. 20.
221018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이해 - 미 소비자 물가지수CPI 요즘 언론에 미국 경제지표로 경제를 이야기 하다보니 용어를 간단히는 알아야 할거 같아서 아래와 같이 정리 해본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CPI의 약자는 Consumer price idex로 소비자 물가지수이고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을 뜻한다 소비자물가지수의 변동률은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기본자료로 활용되는데 예를 들어, CPI가 상승한다는 말은 물가가 오른다는 것을 뜻하며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미국 CPI는 도시의 가정을 기준으로 소비자가 직접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률을 나타내며,미국 소비자들과 가장 밀접한 식품, 원자재, 자동차, 주거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MOM과 YOY 전월비 전년비 두가지가 있으나 전년비로 주로 .. 2022. 10. 18.
나의 좁은 생각 다스리는 방법 ‘사돈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이야기 있다. 이 말이 멀리 있는 게 아니라 내 앞에 있음을 알게 된 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아니 오래되었어도 무시했었던 거 같다. 주변에 사람들이 한 두 명씩 잘 되는 걸 보면서 속이 상한 건 내가 너무 속이 좁아 그런 건지, 질투심이 많은 건지, 열등감인지, 계속적으로 나를 심적으로 괴롭히고 있다. 주변에 사람이 잘 되면 진심으로 축하해 주고 내가 더 분발해야 하지 않나?? 쉽게 자기반성을 하는 긍정적이고 밝은 행동이나 마음자세를 보이지 않으니 말이다. 이럴 때일수록 스스로의 자책과 열등의식은 나에게 좋지 않음을 반문. 반문해 본다. 그러다 며칠뒤 우연히 팟캐스트를 듣다 보니 마음도 편해지고, 생각도 정리된다. 알프레드 아들러의 '인간이해'에서 남과 나의 격차.. 2022. 10. 18.
221017 나는 주식 대신 달러를 산다 01 - 박성현 저 (RHK출판) 요새 책을 이것저것 보다 보니 후기를 적어야겠다는 생각이 너무 간절하다. 왜? 내 머릿속에서 지우기 너무 아깝다. 그 흔적을 남겨야 계속적으로 공부도 되고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듯하기 때문이다. 오늘 읽은 책은 사실 오늘 본 게 아니라 몇 개월 전에 사서 보고 내가 이쯤이면 실천하고 안봐도 되겠지 하고 방심하고 투자했다가 최근 들어 조금 힘든 사항을 겪으면서 다시 책을 보니 눈에 안 보이는 것들이 다시 보이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래서 하나하나씩 차근차근 이 책을 읽었던 후기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크게 8가지 챕터로 나눌 건데.. 1. 달러 투자 타이밍 2. 환전 기본 용어 3. 달러 투자방법 4. 플랫폼별 달러 거래 5. 달러 투자 메커니즘 6 실전 달러 투자 7. 세븐 스플릿 달러 투자 시스템 8. .. 2022. 10. 17.
221011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이해 - 부동산 PF와 10.21자 현재근황 [ PF : Project Financing ] 사전적인 의미로는 `자금을 빌리는 사람(차주:건축주)의 신용도나 다른 담보 대신 사업계획, 즉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근거로 자금을 조달하고, 추후 대출에 대한 원리금 상환도 해당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에 의존하는 금융기법'이다. 즉, 자금을 투자받은 사업자는 수익성이 높은 사업에 투자한 뒤 이후 나오는 이익(cashflow)으로 채무를 갚아 나간다.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떠오른 PF 문제는 이 것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엄밀히 말해 정부와 언론이 문제라고 지적하는 한국형 PF는 건설사의 시공보증이라는 담보가 있는 `대출'로 분류하는 게 더 정확해 보인다. [PF 구도] 먼저 시행자(차주=건축주)는 토지계약을 하고, 건축허가를 득한 .. 2022.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