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35

221223 크리스마스가 곧 온다. 성탄절(聖誕節), 크리스마스(Christmas) 또는 기독탄신일(基督誕辰日)은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리는 기념일이다.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여호와의 증인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기독교 종파들은 이 기념일을 지킨다. 날짜는 서방 교회 및 서방 교회의 영향을 받은 세계 여러 지역에서는 12월 25일이며, 기존 율리우스력을 따르는 일부 동방 교회들은 1월 7일이다. 가톨릭, 정교회에서는 주님 성탄 대축일(Festum Nativitatis Domini)이라고 하여 주님 부활 대축일 다음으로 가장 성대한 기념일이며, 개신교에서도 부활절 다음으로 큰 기념일이다. 근대 이전 기독교(그리스도교) 국가들은 성탄절을 한 해의 시작으로 여기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는 대통령령 제28394호 '관공서의 공휴일에.. 2022. 12. 23.
221223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낙수효과, 단기금융시장 1. 낙수효과 정부가 경제정책으로 대기업과 고소득층 또는 부유층의 소득과 부를 먼저 늘려주게 되면 이들의 소비와 투자 증가를 통해 전체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결국에는 중소기업과 저소득층도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주장은 분배와 형평성보다는 성장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논리에 근거한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제41대 대통령인 부시가 1989년부터 1992년까지 낙수효과(trickle-down effect)에 기반을 둔 경제정책을 채택하기도 했다. 그러나 1993년 1월 당선된 클린턴 행정부는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없다는 이유를 들어 이전의 정책을 포기한 바 있다. 2015년 국제통화기금(IMF)은 선진국,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연구(“Causes and Consequences of.. 2022. 12. 23.
걱정은 결코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 걱정거리를 해결하려는 생각에 집중하는 대신 걱정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야 합니다. 억누르려고 애를 쓸수록, 안간힘을 쓸수록 이 모든 것이 그 생각을 더 키우고 에너지를 키우게 합니다. 플러스 에너지가 아닌 마이너스 에너지를 키우게 되므로 저의 성장에 도움이 되질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가슴속 한구석에는 불안, 초초의 불씨가 남아 있습니다. 요즘 나를 힘들게 했거나 우울하게 했던 일이 있었는지 되돌아봅니다. 가급적 긍정적으로 살려고 노력은 하고 있지만 매년 11월쯤은 회사일로 인해 조직개편 시즌이 되면 늘 불안합니다. 점점 도태되어 가는 것 같고, 업무에 흥미를 잃게 되어 과연 살아남을 수 있을까?라는 걱정 아닌 걱정을 하게 됩니다. 다들 승진과 적정한 인사평가를 받을 때 저는 그 사이에서 정체되.. 2022. 12. 22.
221222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기축통화, 기회비용 1. 기축통화 기축통화란 여러 국가의 암묵적인 동의하에 국제거래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통화를 지칭합니다. 구체적으로 기축통화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크게 3가지의 뜻으로 사용됩니다. ① 국제무역결제에 사용되는 통화 ② 환율 평가 시의 지표가 되는 통화 ③ 대외준비자산으로 보유되는 통화 그러므로 어떤 나라의 통화가 기축통화가 되기 위해서는 세계적으로 원활히 유통될 수 있도록 유동성이 풍부하여야 합니다. 게다 거래 당사자들이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신뢰성을 갖추어야 하며, 국제적으로 경제력은 물론 정치력 •군사력까지 인정받는 국가의 통화여야 합니다. 20세기 초반까지는 세계 금융경제의 중심이었던 영국의 파운드화가 기축통화로서 국제 거래에 주로 이용되었습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전 세계 외환거래 및.. 2022. 12. 22.
사업에는 연습이 없다. 무슨 일을 하던 많은 경쟁업체와 싸워야 한다. 특히 내가 하려는 일은 입지가 중요한데, 선호도 높은 상권을 택할 경우 비싼 임대료와 주변에 많은 경쟁자와 싸워야 함을 명심해야 한다. 그리고 아무리 장점이 많고, 손이 덜 가는 사업이라도 단점이 있을 것이며, 그 단점을 보완하여 장점을 만들 수 있어야 성공으로 갈 수 있을 것이다. 나의 성향을 따져봐야 할 것이다. 또한 나의 성향도 적극적이냐, 비 적극적이냐에 따라 수익도, 성공여부도 달라질 수 있다. 지금 하려는 일을 시도할 사업지도 어떤 지역이든 수요가 있다. 하지만 나에게 맞는 상권요소(임대료, 경쟁업체, 입지, 수요등)와 기타 요소(자금력, 투잡가능유무, 마인드 등을 고려하여 시작 전에 다시 한번 신중히 생각하고 결정하려 한다. 또한 사업을 시작할 .. 2022. 12. 22.
221221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기저효과, 기준금리 1. 기저효과 기저효과(base effect)는 경제지표 증가율을 해석할 때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부풀려지는 등의 왜곡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즉 호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현재의 경제 상황을 비교할 경우 경제지표는 실제보다 위축된 모습을 보이는 반면, 불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비교하면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부풀려져 나타날 수 있다. 기저효과는 물가 상승률을 설명할 때도 자주 이용된다. 예를 들어 지난해 여름에 태풍 피해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였다면, 전년 동기 대비로 계산한 올해 여름의 농산물 가격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것이다. 반대로 지난해 가을 기상여건 호조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과일 가격이 폭락하였다면 올해.. 2022.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