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잡학상식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춘' 이해하기

by 비월 2401 2025. 1. 19.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춘(立春)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

입춘(立春)에 대해 이해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은 2월 04일에서 05일에는 남부지방에서부터 봄을 알리기 시작합니다.

-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하는 말입니다.

뉴스에서도 봄에 접어든다는 절기 '입춘'인  겨울철들어 가장 따뜻한 날씨를 보이고 있다고 알려줍니다.
영상권 기온에 경남, 전남등 남부 곳곳에서는 꽃망울도 관측됐는데요.
봄이 시작한다는 절기 '입춘' 답게 어제보다 더 따뜻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입동'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4절기 개요

1. 입춘 개요

立春 / 二十四節氣

입춘 개요

입동(立春)은 24 절기 중 하나로, 한자뜻을 풀이하면 '봄이 시작된다'는 의미인데요.

24 절기의 1번째로 태양 황경이 315도가 될 때입니다.

양력기준이기 때문에 2월 4일~5일에 해당됩니다.

과거, 입춘이 되면 한 해의 농사와 계절 변화를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로 여겨졌는데요.

아직 매우 추운 겨울이지만 햇빛이 강해지고 밝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동지가 지난 후 태양이 다시 북반구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북반구 쪽의 지구가 천천히 달구어지는 시차가 존재하여 입춘이 지난 후 한 달 정도 지나야

계절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데요.

실제로는 춘분이 되어야 본격적인 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보통 3월 6일쯤인 경칩이 되어야 봄이 시작됩니다.


주요내용

2. 입춘 주요 내용

立春 Details

입춘 주요 내용

1) 입춘의 유래

계절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는 농경 사회의 생활패턴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입동은 '24 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농사를 시작하기 전, 씨앗을 뿌리고 새해 농사를 준비하는 상징적 절기였습니다.

또한, 겨울이 끝나고 봄이 오면 자연은 생기를 되찾고 모든 것이 새롭게 시작되기에

입춘은 이러한 자연의 순환과 변화를 관찰하고 기념하는 날이었습니다.

 

2) 입춘의 기후

입춘의 기후

입춘 무렵에는 아직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크고, 꽃샘추위가 찾아오기도 합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기온이 점차 상승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또한, 겨우내 내렸던 눈이 녹아 물이 되면서 강수량이 증가합니다.

하지만 지역에 따라 강수량의 변화는 다를 수 있습니다.

 

 

 

 

겨울철 강한 북서풍 대신 남풍이나 남동풍이 불면서 온화한 날씨를 만들어 주는데요.
입춘 무렵에는 아직 쌀쌀한 날씨가 이어지지만, 남부 지방에서는 봄꽃이 피기 시작하는 곳도 있어요.

특히, 남해안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봄이 빨리 찾아옵니다.

 

3) 입동의 풍습

입동의 풍습

입춘은 봄의 시작을 알리는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농경 사회에서는 풍요로운 한 해를 기원하며 다양한 풍습들이 행해졌습니다.

A. 입춘대길 붙이기
입춘이 되면 대문이나 기둥에 '입춘대길'이라는 글을 써 붙여 새해의 행운을 기원했습니다. 

이는 새해를 맞아 좋은 일이 많이 생기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것입니다.

 

B. 보리 뿌리 점치기
농가에서는 입춘날 보리 뿌리를 뽑아 뿌리의 가닥 수를 세어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뿌리가 많이 나오면 풍년, 적게 나오면 흉년이라고 여겼습니다.

오곡밥 지어 먹기

C. 오곡밥 지어 먹기
풍요를 기원하며 오곡밥을 지어먹었습니다. 

오곡밥은 찹쌀, 찰수수, 차조, 팥, 콩 등 다섯 가지 곡물로 지은 밥으로, 

각 곡물이 가지는 의미처럼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D. 입춘 채 만들어 먹기

입춘 채는 파, 겨자, 당귀 등의 어린싹으로 만든 음식으로,

입춘날 이웃과 나눠 먹으며 건강을 기원했습니다.
 

E. 농기구 정리하기

농사를 시작하기 전, 농기구를 정리하고 손질하여 한 해 농사를 준비했습니다.

 

F. 집안 대청소

새해를 맞이하여 집안 구석구석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정리하여 맑고 깨끗한 기운을 받아들이고자 했습니다.

 

G. 세시음식 만들어 먹기
지역마다 다양한 세시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입춘을 축하했습니다. 

예를 들어, 부각, 약과, 엿 등을 만들어 먹기도 했습니다.

 

4) 입동의 음식

입춘은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겨우내 움츠렸던 몸과 마음을 정화하고 새로운 기운을 받기 위해 다양한 음식을 즐겼습니다. 입춘에 먹는 음식들은 건강뿐만 아니라 풍요로운 한 해를 기원하는 의미도 담고 있죠.

입동의 음식

A. 오신채 (五辛菜)
오신채는 입춘에 가장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입니다. 파, 마늘, 달래, 부추, 무릇 등 매운맛이 나는 채소 다섯 가지를 골라 무친 음식으로, 입맛을 돋우고 소화를 돕는 효능이 있습니다.

오신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섯 가지 색깔을 갖춘 채소를 골라 먹는다는 설이 유력합니다. 각 채소는 오장육부에 좋다고 여겨져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


B. 입춘채
입춘채는 봄에 갓 자란 나물을 이용하여 만든 음식입니다. 

움파, 냉이, 미나리, 쑥 등 봄나물을 데쳐서 양념에 버무려 먹거나, 쌈을 싸 먹기도 합니다. 

봄나물에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여 겨우내 부족했던 영양을 보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명태순대


C. 명태 순대
명태 순대는 명태 내장을 빼고 속을 채워 쪄낸 음식입니다. 

비타민 A가 풍부하여 눈 건강에 좋으며, 겨울철 부족했던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D. 오곡밥
오곡밥은 찹쌀, 찰수수, 차조, 팥, 콩 등 다섯 가지 곡물로 지은 밥으로,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각 곡물이 가지는 다양한 영양 성분은 건강 증진에도 도움을 줍니다.

E. 봄나물 전
봄나물을 이용하여 부침개를 부쳐 먹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봄나물의 향긋한 향과 고소한 기름 향이 어우러져 입맛을 돋웁니다.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춘'을 이상과 같이 이해해 보았습니다.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절기중 '대설'을 이해해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설'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설(大雪)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눈이 가장 많이 내리면서 본격적인 겨울을 알리는 대설은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눈은 보

bewall2401.com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절기중 '소설'을 이해해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설'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설(小雪)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겨울을 본격적으로 시작됨을 알리는 소설은 11월 22일에는 통상 살얼음이 얼기 시작합니다.무 배추 캐여 들여 김장

bewall2401.com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절기중 '동지'를 이해해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동지'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동지(冬至)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한 해에 가장 마지막 절기이자, 북반구에서는 낮이 제일 짧은 날인 동지가 12월 21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대설(大雪)과

bewall2401.com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절기중 '소한'을 이해해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한'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한(小寒)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새해를 맞아 1년 중 가장 추운 날을 알리는 소한이 양력 01월 05일경입니다.소한(小寒)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bewall2401.com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절기중 '대한'을 이해해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한'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한(大寒)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새해를 맞아 1년 중 가장 추운 날을 알리는 소한이라 언급했지만 대한도 만만치 않습니다. 대한(大寒)은 24 절기 중 마

bewall2401.com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를 이해해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태양 움직임으로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절기 이해하기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계절이 바뀌고, 계절을 세분화한 24 절기를 이해해 보려 합니다.24 절기에 해당하는 날에는 TV 뉴스 인트로나 날씨를 소개할 때 "절기상 입동인 오늘은 전국이 추운..."라는

bewall2401.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