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한(大寒)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
새해를 맞아 1년 중 가장 추운 날을 알리는 소한이라 언급했지만 대한도 만만치 않습니다.
대한(大寒)은 24 절기 중 마지막 절기로, 원래 '큰 추위'라는 뜻을 가진 절기인데요.
재미있는 속담으로 누가 더 추위가 센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대한(大寒)끝에 양춘(陽春)이 있다.
동양에서는 겨울을 매듭짓는 절후로 보아,
대한의 마지막 날을 절분(節分)이라 하여 계절적으로 연말일(年末日)로 여겼는데
이 속담은 대한이라는 큰 추위의 고비만 넘기면 따뜻한 봄이 올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 소한보다는 약해 보이네요.
그래서 오늘은 '대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대한 개요
大寒 / 二十四節氣
대한(大寒)은 24 절기 중 마지막 절기로, 원래 가장 춥다고 알려진 날씨입니다.
대한은 한자 그대로 '큰 대(大), 찰 한(恨)'으로,
한자뜻을 풀이하면 '큰 추위'라는 의미라 앞서 이야기했습니다.
24 절기의 24번째로 태양 황경이 300도가 될 때입니다.
대한은 음력 12월 섣달에 들어 있으며, 양력으로는 1월 20일 무렵에 해당됩니다.
겨울철에는 고기압이 강화되어 대기 중 습기가 적어지고 기온이 크게 떨어져 춥고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는데요.
한반도에서는 때때로 시베리아에서 차가운 바람이 불어와 꽤 춥고 풍성한 눈을 볼 수 있습니다.
2. 대한 주요 내용
大寒 Details
1) 대한의 유래
계절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는 농경 사회의 생활패턴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대한은 '24 절기' 중 마지막인 스물네 번째 절기로,
대한은 태양의 황경이 300도에 이르는 시기로, 겨울의 끝자락에 위치하지만 실제로는 가장 추운 시기로 여겨졌습니다.
원래 중국에서는 대한 다음으로 가장 매서운 한파가 오는 때라,
이 시점에 농가에서는 입춘 전까지 혹한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이제는 좀 무색해졌지만 삼한사온(三寒四溫)이라는 말처럼
삼일은 춥고 사일은 따스한 기후가 본격 시작되는 것도 바로 이 무렵입니다.
그리고 24 절기 중에서는 해가 가장 늦게 뜨는 날이기도 합니다.
2) 대한의 기후
이름만 보면 대한이 가장 춥고 그다음으로 소한이 추워야 합니다.
실제 기온도 대한이 더 낮은 편이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소한과 대한이 비슷하거나 오히려 소한이 더 추운 경우도 많습니다. 그 이유는 상대적 체감 부분이 가장 큰데,
소한 때가 되면 갑자기 급격하게 추워지면서 미처 적응하지 못한 사람들이 몹시 춥게 느끼지만,
대한 때가 되면 사람들이 이미 소한 추위에 적응하여 더 추워졌다는 느낌을 별로 받지 않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소한이 대한보다 오히려 춥다는 의미의 속담은 아래와 많습니다.
-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가서 얼어 죽었다.
- 소한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
- 소한 추위는 꾸어서라도 한다.
-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3) 대한의 풍습
대한은 24 절기 중 마지막 절기로, 겨울의 절정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우리 조상들은 대한을 맞이하여 혹독한 추위를 이겨내고 새해를 준비하는 다양한 풍습을 이어왔습니다.
A. 농경 사회의 준비
- 봄맞이 준비
대한은 겨울이 끝나가고 봄이 다가오는 시기이므로,
농부들은 봄농사를 위한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씨앗을 준비하고 농기구를 손보는 등 다음 해 풍요로운 수확을 기원하며 부지런히 움직였습니다.
- 음력 섣달 마무리
음력 섣달은 대한으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아 한 해를 정리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준비를 하는 시기였습니다.
B. 악귀를 쫓고 복을 기원하는 의례
- 콩 뿌리기
대한 밤에는 콩을 방이나 마루에 뿌려 악귀를 쫓고 새해 복을 기원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콩은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 집안 정리
묵은 해의 액운을 털어내고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 집안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정리했습니다.
C. 지역별 다양한 풍습
- 제주도의 신구간
제주도에서는 대한 후 5일에서 입춘 전 3일까지를 신구간이라고 하여 이사나 집수리, 집안 손질을 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 기타 지역
지역마다 대한과 관련된 다양한 풍습이 전해져 내려오는데,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음식 만들기, 민속놀이 등이 있습니다.
4) 대한의 음식
대한은 한 해 중 가장 추운 시기로, 몸을 따뜻하게 해 주고 기력을 보충해 주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조상들은 대한을 맞아 겨울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다양한 음식을 즐겨 먹었는데요,
어떤 음식들이 있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A. 뜨끈한 국물 요리
- 떡국 : 찹쌀로 만든 떡을 넣어 끓인 떡국은 든든하면서도 속을 따뜻하게 해주는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 칼국수 : 밀가루 반죽을 얇게 썰어 끓인 칼국수는 소화가 잘 되고 속을 편안하게 해 줍니다.
- 순두부찌개 : 뜨끈한 순두부찌개는 몸을 따뜻하게 해 주고, 콩의 단백질이 풍부하여 기력 회복에도 좋습니다.
- 시래기국 : 시래기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겨울철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B.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채소
- 무
무는 소화를 돕고 체온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무를 넣어 끓인 국이나 조림은 소한에 먹기 좋은 음식입니다.
- 생강
생강은 몸을 따뜻하게 하고 소화를 돕는 효과가 있습니다.
차로 끓여 마시거나 요리에 넣어 먹으면 좋습니다.
C. 기타
- 찹쌀
찹쌀은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몸을 따뜻하게 해 주고 소화를 돕습니다.
찹쌀로 만든 떡이나 죽을 먹으면 좋습니다.
- 견과류 : 견과류는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여 혈액순환을 돕고 면역력을 강화시켜 줍니다.
- 꿀 : 꿀은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몸을 따뜻하게 하고 기력을 회복시켜 줍니다.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한'을 이상과 같이 이해해 보았습니다.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를 이해해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태양 움직임으로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절기 이해하기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계절이 바뀌고, 계절을 세분화한 24 절기를 이해해 보려 합니다.24 절기에 해당하는 날에는 TV 뉴스 인트로나 날씨를 소개할 때 "절기상 입동인 오늘은 전국이 추운..."라는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한'을 이해해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한'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한(小寒)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새해를 맞아 1년 중 가장 추운 날을 알리는 소한이 양력 01월 05일경입니다.소한(小寒)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동지'를 이해해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동지'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동지(冬至)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한 해에 가장 마지막 절기이자, 북반구에서는 낮이 제일 짧은 날인 동지가 12월 21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대설(大雪)과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설'을 이해해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설'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설(大雪)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눈이 가장 많이 내리면서 본격적인 겨울을 알리는 대설은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눈은 보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설'을 이해해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설'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설(小雪)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겨울을 본격적으로 시작됨을 알리는 소설은 11월 22일에는 통상 살얼음이 얼기 시작합니다.무 배추 캐여 들여 김장
bewall2401.com
'소소한 잡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설날 다양한 인사말과 덕담을 알아 보실까요? (1) | 2025.01.27 |
---|---|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춘' 이해하기 (2) | 2025.01.19 |
25년 새해 24년 연말 겨울 트렌드 알아보기 (7) | 2025.01.07 |
24~25년 새해 핫이슈 트렌드 분야별 흥망성쇠 알아보기 (11) | 2024.12.31 |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한' 이해하기 (22)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