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한(小寒)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
새해를 맞아 1년 중 가장 추운 날을 알리는 소한이 양력 01월 05일경입니다.
소한(小寒)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대한(大寒)에 얼어 죽은 사람은 없다.
그만큼 소한(小寒)이 대한(大寒) 보다 더 춥다는 의미입니다.
한편으로 어떤 현상이나 상황에만 기대어 엄살을 부리는 사람들을 경계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소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소한 개요
小寒 / 二十四節氣
소한(小寒)은 24 절기 중 하나로, 한자뜻을 풀이하면 '작은 추위'를 의미인데요.
24 절기의 23번째로 태양 황경이 285도가 될 때입니다.
한 해에서는 맨 처음에 오는 절기이며, 양력기준이기 때문에 1월 5일경에 해당됩니다.
동지와 대한 사이에 위치하며, 새해에 맞는 첫 절기입니다.
'정초한파'라 불리는 강추위가 집중되는 시기로, 추위에 대비하고 한 해 농사 계획을 세우는 시기이기도 한데요.
원래 중국에서는 대한 다음으로 가장 매서운 한파가 오는 시기로,
이때 농가에서는 입춘 전까지 혹한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최근은 의미가 퇴색됐을 수도 있지만
삼한사온(三寒四溫)이라는 말처럼 3일은 춥고 4일은 따스한 기후가 본격 시작되는 것도 바로 이 무렵이며,
24 절기 중에서는 해가 가장 늦게 뜨는 날이기도 합니다.
2. 소한 주요 내용
小寒 Details
1) 소한의 유래
소한의 기원은 중국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고대 중국인들은 천체의 운행을 관찰하여 1년을 24개의 절기로 나누었고,
각 절기에 맞는 생활 방식과 풍습을 만들어 왔습니다.
소한은 태양의 황경이 285도에 이르는 시기로,
겨울의 한가운데에 위치하여 가장 추운 시기 중 하나로 여겨져 왔습니다.
25년 1월 5일경은 어떨지 기대되네요~
2) 소한의 기후
소한이 되면 갑자기 추워집니다.
갑작스러운 추위에 미처 적응하지 못한 사람들이 몹시 춥게 느끼지만,
대한(大寒)무렵이 되면 사람들이 이미 소한의 강추위에 적응했기 때문에 더 춥다는 느낌을 상대적으로 받지 않게 됩니다.
그리고 1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동지와의 시간적 간격도 소한이 대한의 절반밖에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소한과 대한을 비교한 속담들이 많은데요, 아래와 같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가서 얼어 죽었다.
- 소한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
- 소한 추위는 꾸어서라도 한다.
-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 소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대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없다.
3) 소한의 풍습
크게 4가지의 풍습이 있는데, 아무래도 계절과 연관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풍습을 아래와 같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따뜻한 음식 섭취
: 추운 날씨를 이겨내기 위해 뜨끈한 국물 요리, 떡국, 팥죽 등 따뜻한 음식을 즐겨 먹었습니다.
- 따뜻한 옷 챙겨 입기
: 두꺼운 외투, 목도리, 장갑 등으로 몸을 따뜻하게 하고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겨울 작물 관리
: 농부들은 소한을 기점으로 겨울 작물을 보호하고, 다음 해 농사를 위한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 세시풍속
: 지역마다 소한과 관련된 다양한 세시풍속이 전해져 내려오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농경 의례, 음식 만들기, 민속놀이 등이 있습니다.
4) 소한의 음식
소한은 다시 한번 언급하지만 겨울의 절정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매서운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우리 조상들은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음식을 즐겨 먹었습니다.
소한에 먹으면 건강한 음식들을 소개해 봅니다
A. 뜨끈한 국물 요리
- 떡국 : 찹쌀로 만든 떡을 넣어 끓인 떡국은 소한에 빠질 수 없는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떡의 쫄깃한 식감과 국물의 따뜻함이 잘 버무려져 추위를 자연스럽게 녹여줍니다.
- 칼국수 : 밀가루 반죽을 얇게 썰어 끓인 칼국수는 속을 따뜻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김치, 호박, 애호박 등 다양한 재료를 넣어 끓여 먹으면 더욱 맛있습니다.
- 순두부찌개 : 부드러운 순두부찌개는 속을 편안하게 해 주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B.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채소
- 시래기 :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겨울철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시래기 된장국, 시래기나물 등 다양한 요리로 즐길 수 있습니다.
- 무 : 무는 소화를 돕고 체온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무를 넣어 끓인 국이나 조림은 소한에 먹기 좋은 음식입니다.
- 생강 : 생강은 몸을 따뜻하게 하고 소화를 돕는 효과가 있습니다.
차로 끓여 마시거나 요리에 넣어 먹으면 좋아요.
C. 기타
- 찹쌀 :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몸을 따뜻하게 해 주고 소화를 도와줍니다.
찹쌀로 만든 떡이나 죽을 먹으면 좋아요.
- 견과류 :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여 혈액순환을 돕고 면역력을 강화시켜 줍니다.
- 꿀 : 꿀은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몸을 따뜻하게 하고 기력을 회복시켜 줍니다.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한'을 이상과 같이 이해해 보았습니다.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를 이해해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소소한 잡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새해 24년 연말 겨울 트렌드 알아보기 (7) | 2025.01.07 |
---|---|
24~25년 새해 핫이슈 트렌드 분야별 흥망성쇠 알아보기 (11) | 2024.12.31 |
잊지못할 24년 해넘이 일몰 25년 새해 해맞이(해돋이) 일출 명소 및 시간 알아보기 (4) | 2024.12.29 |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동지' 이해하기 (41) | 2024.12.13 |
24년 겨울 유행 및 트렌드 알아보기 - 미피, 퀵턴 수원, 랜놀, 당편소, 주세 (37)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