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5

목적의식이 주는 행복 삶에서 가장 중요한 건 '행복'일 것이다. 행복은 가장 원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오해하고 있는 부분도 있다. 동기가 무엇이든 우리가 살면서 하는 행동 대부분은 궁극적으로 스스로 행복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지만 내가 생각하는 방식으로 찾아오지 않는다.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어줄 다른 어떤 것을 끊임없이 찾는 일은 힘들다. 마치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처럼 이것을 찾는 일은 무척 힘든 일이다. 열심히 돈을 벌로 살림을 늘리는 이유는 돈이 우리에게 가져다줄 것이라 기대하는 기쁨 때문이다. 실제 그러하기도 하고, 잠시나마 행복해지기도 하지만 그 시간은 그렇게 길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내 원상태로 돌아가고 만다. 재산이 많다고 자동적으로 행복이 생기지 않는다. 주변환경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환경의 영향을 많이.. 2023. 7. 16.
습관에도 적성이 있다. 습관에도 적성이 있음을 아는가?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비결은 경쟁할 분야를 제대로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포츠든 비즈니스든 분야에 최적화된 습관이 존재한다. 우리의 태생적 성향과 능력이 어떤 습관과 일치할 때, 우리는 더 수월하게 그 일을 해내고 만족감도 커서 그 일을 계속해서 하게 된다. 이런 전략은 유전자 결정론처럼 강점과 약점이 될 수 있다. 즉, 적성이 있다는 말이다. 유전자는 쉽게 변화시킬 수 없는 것으로 자신에게 친화적인 환경에서는 강력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비 친화적인 환경에서는 심각한 결함으로 작용한다. 농구에서 덩크슛을 하고 싶다면 키가 210센티미터는 되어야 유리하다. 체조동작을 할 때 210센티미터는 걸림돌이 될 것이기에 적성도 중요하다. 환경이 바뀌면 성공을 결정지을 자질도 변.. 2023. 5. 5.
왜 집보다 스타벅스가 공부가 더 잘 될까? 환경이 단순히 물건으로 채워진 공간으로 생각하지 않았으면 한다. 관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하자. 우리가 주변 공간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의 관점에서 생각하자. 누군가에게 거실의 소파는 매일 밤 한 시간씩 책을 읽는 장소가 될 수 도 있고, 텔레비전을 보며 쉬는 장소가 될 수도 있다. 똑같은 장소라 해도 사람들마다 각기 다른 기억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습관도 달라진다. 새로운 환경에서는 습관을 바꾸기가 쉽다. 우리가 현재의 습관을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몰아가는 촉매들과 신호들에서 탈출하게 도와주기 때문이다. 색다른 카페, 공원, 벤치, 평소 거의 이용하지 않는 방구석 자리등 새로운 장소에서 새로운 습관을 만들어 보자. 경쟁신호들을 눈앞에 둔 상태에서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것보다 새로운 맥락.. 2023. 3. 24.
환경이 행동을 결정한다. 사람들은 종종 꼭 '그것'이어서가 아니라 그게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그 물건을 선택한다. 주방에 들어갔을 때 조리대에 쿠키접시수가 놓여 있다면 누구나 하나 정도는 자연스럽게 배가 고프지 않아도 먹을 것이다. 습관은 우리가 있는 공간과 우리 앞에 놓인 신호들에 따라 변화한다. 환경은 인간의 행동을 형성하는 보이지 않는 손이기에 우리 모두가 성격이 다르긴 해도 특정한 행동들은 특정한 환경 아래서 반복적으로 일어나곤 한다. 행동은 사람과 그들을 둘러싼 환경 간의 함수관계이다. 1936년 심리학자 쿠르트 레빈은 강력한 함의를 담은 위의 공식을 만들었다. 비즈니스 세계에서는 레빈의 공식을 실험했는데 소비자들은 종종 그 물건을 '원해서'가 아니라 그 물건들이 어떻게 자기 앞에 '놓여 있느냐'에 따라 물건을 산다.. 2023. 3. 22.
나의 결심을 일깨워주는 환경을 만들자. 내가 결심한 원칙을 우연히 다른 이에게 말을 했더니 반응이? 내가 결심한 원칙을 우연히 다른 이에게 말을 했다가 '분수에 맞게 살라'라는 조언을 들었다. 문제는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나의 이야기를 했을 때 이런 말들을 들을 확률이 대다수라는 점이다. 정말 나의 주변에 내가 생각한 원칙을 항상 일깨워주는 환경이 있을지 반문해 본다. 친구를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는 옛말이 있다. 내가 주변의 지인으로부터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을 만큼 강한 자아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까? 내 성격상 어려부터 무의식적으로 타인을 흉내 내고 따라 하면서 성장했기에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나에게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클 것으로 본다. 그리고 그들과 같이 사회생활을 하고 시간을 보낼수록 점점 더 월급쟁이의 .. 2022.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