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22 부자가 되는 길을 찾아주는 보도 섀퍼의 '돈' 독서후기 - 03. 부자가 되는 것은 기적이 아니다. Chapter 03. 부자가 되는 것은 기적이 아니다.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이 1년 안에 할 수 있는 것은 과대평가하고, 10년 안에 할 수 있는 것은 과소평가한다. – 짐론의 ‘야망의 힘'에서 ※ 책의 빠른 요약을 위해 말을 짧게 함을 양해 바랍니다. 1. 변화가 생기는 다섯 단계에 주목하라. 1) 현재 상태를 둘러보고, 온통 만족스럽지 못하다. 변화를 위해 무언가 해야 한다. 2) 일을 붙들고 있는 것만으로 일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는다. 일을 하되 일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기술과 전략으로 문제 해결 노력) 3) 새로운 기술도 별로 도움이 안 되고, 성공한 다른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하면 그들은 크게 힘들이지 않고 목표에 도달한 것처럼 보인다. 기회를 열어줄 영향력 있는.. 2024. 1. 17. 서두르지 말자. 성격이 급해 서두르다 피해를 본다. 가끔씩 빠르게 행동하는 습관은 좋은 점도 있지만 역으로 더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게 만든다. 주변을 둘러보지 않게 되고 상호연관이 되는 다른 일들이 역효과를 만들기 때문이다. 특히 나에게는 급한 성격의 장점도 좋지만 단점도 많다. 일에 있어서 빠르게 마무리를 하도록 관리하여, 여러 사람들과 나에게 만족시킬 수 있다. 하지만 단점의 가장 흔한 예는 뒤를 돌아보지 않고 가는 점 때문에 물건을 놓고 가는 경우도 많고, 심한 경우에는 돈을 놓고 가기도 한다. 회사에서 프레젠테이션을 할 경우 신중을 기해 발표자료를 만들어 대사를 준비한다. 하지만 준비한 대사를 발표에서는 급한 성격에 놓치곤 한다. 그러한 사항을 후회하고 반성하고 다시는 안 그러려고 다짐을 하지만 반복을 하게 된다.. 2023. 7. 11. 나를 찾아줘 가볍게 생각하는 나의 사고는 과연 옳은 건가? 쉽게 생각하고, 가볍게 판단하는 습관에 길들여지다 보니 빠른 시간, 빠른 행동, 빠른 표현만 하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상대를 생각하는, 배려하는 모습이 어느덧 사라지는 느낌이 나의 기우일까? 어떤 사업을 하더라도 어떠한 일을 하더라도 조금은 더 진중하고,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야 하는 게 맞지 않을까? 그렇지 않아 자주 사람들과 오해와 편견에 잡히게 된 거 같다. 그러면서 힘든고 비를 계속 넘기게 되는 거 아닌가? 과연 나는 과거부터 계속 그런 건가? 아니면 어느 시기부터 변한 건가? 또는 어떤 순간에만 그런 건가? 얼마 전 Gone Girl (나를 찾아줘)라는 영화를 보면서 내용보다는 제목에 끌렸다. 과연 나는 누구이고, 누구였을까? 나의 어떤 모습으로 앞.. 2023. 6. 30. 성공한 사람 흉내내기 누군가 성공하려면 성공한 사람처럼 따라 해야 한다고 했다. 성공한 사람처럼 말하고, 걷고, 심지어 그들처럼 차려입어야 한다고 했다. 거기에 내 모습은 없지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했지만 시간이 흐르자 성공한 사람 '흉내내기'에 아주 질려 버리고 말았다. 오히려 모든 성공의 '전술'과 정반대로 행동을 하였다. 가장 먼저, 긴장을 풀었다. 내 몸에 귀를 기울이고, 속도를 늦추고, 마음을 느긋하게 먹었다. 성공한 사람의 말투와 태도를 버리고 원래의 나로 돌아와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을 되찾고 그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일을 적게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성공하기 위해 지켜야 할 규칙과 반대로 도전했더니 훨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상이 '원씽'의 저자 게리켈러의 성공담이다. 시간을 관리하는 건.. 2023. 6. 27. 우선순위와 균형은 함께할 수 없다. 균형의 문제는 우선순위에 대한 문제와 같은 말이다. 균형이라는 단어 대신 우선순위로 말을 바꿔 쓰면 여러 선택지들을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고, 또 다른 운명으로 가는 문을 열 수 있다. 남과 다른 성과를 만들려면 우선순위를 정리해야 한다. 우선순위에 따라 행동하면 자연스럽게 균형에서 벗어나 순위에 맞는 행동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 된다. 균형을 깨뜨려져야 한다. 그 우선순위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하느냐가 관건이다. 업무를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그것부터 끝내야 한다. 그런 후 퇴근해서는 가정에서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파악하여, 다음 날 다시 일에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 무게를 맞추는 삶을 살자. 중요한 일을 맨 앞에 두고, 나머지 부분 .. 2023. 6. 22.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는데 66일이 필요하다. 습관을 만드는 것은 처음에만 힘들다. 습관을 유지하는 데는 에너지와 노력이 훨씬 덜 들어간다. 어떤 행동을 하나의 습관으로 바꿀 정도로 오래 유지하면 그때부터 여정이 다르게 느껴질 것이다. 삶의 일부가 되도록 하나의 습관을 확립하자. 그러면 힘이 훨씬 덜 들이고도 일상이 효과적으로 바뀔 것이다. 힘든 일이 습관이 되면 습관은 그 힘든 일을 쉽게 만든다.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기까지 평균 66일이 걸린다. 2009년, 런던대학교에서 실시한 연구한 결과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기까지 평균 66일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짧게는 18일, 길게는 254일까지 다양했지만 행동이 습관으로 정착하는데 평균 66일이 걸렸고, 쉬운 행동은 그보다 더 짧게, 힘든 행동은 더 오래 걸렸다. 올바른 습관을 기르는 데는 시간.. 2023. 6. 8.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