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쁜습관6

습관계약을 이행하자. 습관계약은 왜 이행해야 하는가? 법과 규제는 어떻게 정부가 사회적 계약을 만들어내는지 보여주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특정한 규칙을 지키는데 집단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특히 우리의 습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인데 안전벨트 법안, 식당 내 급연 법안, 재활용 의무같이 새로 입법된 규칙들은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우리의 습관을 형성하는 사회적 계약이라 할 수 있는데 집단은 특정한 방식으로 법안에 동의하고, 개인은 이 룰을 안 지키면 처벌을 받는다. 정보가 법을 이용하 듯, 우리도 스스로 책임감 유지를 위해 습관계약을 맺을 수 있다. 습관계약은 특정한 습관을 따르고, 그것을 따르지 않을 경우 벌을 받겠다는 취지를 구두로, 서면으로 남기는 것이다. 그리고, 그 계약을 승인해 줄 수 .. 2023. 5. 4.
경험을 불만족스럽게 만들어라. 어떤 경험이 만족스럽게 끝나면 그 경험은 훨씬 더 많이 반복된다. 반대로 불만족스럽고 고통스럽게 끝나면 그 경험을 피하려고 할 것이다. 고통은 효율적인 스승이다. 실패가 불만족스럽고 고통스럽다면 이는 수정된다. 실패가 상대적으로 고통스럽지 않다면 무시된다. 실수가 즉각적이고 비용이 들수록 더 빨리 배울 수 있다. 식당은 고객이 다시 찾지 않을까 봐 맛있는 음식을 내놓는다. 외과의사는 다른 혈관을 건드렸을 때, 치러야 할 대가가 너무 크기 때문에 해부학을 환 벽하게 숙지하고 조심스럽게 수술을 집도한다. 어떤 행동에 따른 고통이 즉각적일수록 그 행동은 덜 하게 된다. 나쁜 습관, 건강하지 않은 습관을 버리고 싶다면 그 행동에 대한 즉각적인 대가를 치름으로써 그 일을 할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좋다. 우리는 나.. 2023. 5. 3.
삶에서 마찰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보다는 마찰을 줄이는 것이 우선이다. 습관마찰을 효율적으로 줄여보자. 습관과 관련해 마찰을 줄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환경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새로운 습관을 '어디서' 실행할지 결정할 때, 이미 우리의 일상적인 행동이 이뤄지고 있는 곳을 선택하면 된다. 퇴근길 중간에 체육관이 있다면 운동하러 더 가기가 쉽다. 이는 체육관 앞에 멈추어 서는 일이 생활패턴과 크게 마찰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집이나 직장에서 효율적으로 생활하는 것도 마찰을 줄이는 일이다. 일본의 회사들은 '린 생산법'이라 알려진 방식을 강조했는데 생산방식에서 일어나는 온갖 종류의 낭비를 끈질기게 제거하면서 작업환경을 재구축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작업자들이 몸을 돌리면 작업도구에 바로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낭비되는 시간이 없게 하였다. 그 결과 일본 공장들은 .. 2023. 4. 12.
나쁜 습관도 즐겁게 고칠 수 있다. 스스로에게 거짓말하는 걸 그만두어라. 당신은 자신이 정말로 흡연을 원하지 않는다는 걸 알고 있다. 흡연을 즐기지 않는다는 것도 알고 있다. 앨런카의 '손쉽게 답배를 끊는 방법'이라는 책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이 문장은 더 이상 스스로에게 희생자가 아니라는 기분을 느끼게 해 준다. 더는 담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걸 깨닫게 해 준다. 저자가 흡연자들의 흡연 욕구를 제거하고자 제시한 전략은 독특했다. 그는 흡연과 연결된 각각의 신호를 체계적으로 재구성하고, 거기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 당신이 뭔가를 그만뒀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어느 것도 그만둔 것이 아니다. 담배는 당신에게 아무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당신이 흡연이 사회생활에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당신은 담배를 한 대로.. 2023. 4. 3.
나쁜 습관 피하기 기술 건강하지 못한 습관은 도덕적 해이한 탓이 아니다. 내가 비만이라든가, 흡연자이라던가, 중독자라면 아마도 살아오는 내내 나의 자제력이 부족해서 그렇게 되었다는 소리를 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과학자들이 최근에 연구한 것을 토대로 보면 '규범적인' 사람들은 영웅적 의지나 자제력이 없이도 삶을 더 낫게 설계했다. 즉, 그들은 유혹적인 상황에서 보내는 시간이 적었던 것이다. 엄청난 자제력을 지닌 사람들은 전형적으로 자제력을 발휘할 필요를 최소로 한 사람들이다. 자제력을 발휘할 일이 무척 적다면 자제하기도 쉽다는 말이다. 다시 말해 인내, 열정, 의지는 성공의 근본적인 요소이긴 하지만 이러한 자질들은 더 규율 잡힌 사람이 아니라 더 규율 잡힌 환경에서 더 잘 발휘된다는 것이다. 습관이 한번 세팅이 되면 신호와 행동.. 2023. 3. 26.
행동변화의 4가지 법칙 신호, 열망, 반응, 보상의 4단계를 반영하여 좋은 습관을 고안해야겠습니다. 이로 인해 나쁜 습관을 제거할 수 있는 행동변화의 4가지 법칙을 실천해 봐야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4개의 신호를 기준으로 좋은 습관을 만들고, 나쁜 습관을 깨뜨리고, 4가지 질문을 통해 간단한 규칙을 만들어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 좋은 습관을 만드는 방법 분명, 매력적, 하기 쉽게, 만족스럽게 만들어야 합니다. 구 분 좋은습관 만드는 방법 첫번째 신호(신호) 분명하게 만들어라 두번째 법칙(열망) 매력적으로 만들어라 세번째 법칙(반응) 하기 쉽게 만들어라 네번째 법칙(보상) 만족스럽게 만들어라 예를 들어 건강관리를 하자라고 한다면 1) 만보를 걷자 (분명) 2) 별도의 돈이 안 든다. (매력) 3.. 2023.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