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86

경제 뉴스로 보는 경제용어 이해 - 고용률, 고정금리, 변동금리 [고용률]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고 있는 경제활동 인구조사에서 집계된 15세이상 인구(노동가능인구)에 대해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한편 실업률은 경제활동 인구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고용률은 실업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고용통계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즉, 고용통계에서 취업준비자와 구직단념자는 실질적인 의미에서 실업자이나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고 있음으로 이들이 늘어나면 실업률이 낮아질 수 있어 체감하는 실업률과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용률은 15세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실업자와 비경제활동 인구간의 이동 등에 따른 경제활동 인구수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고용률도 근로시간이 18시간 미만인 단시간 근로자 및 일시.. 2022. 10. 25.
221024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이해 - 경상수지,경제성장률 [경상수지] 재화나 서비스를 외국과 사고파는 거래 즉 경상거래의 결과로 나타나는 수지를 말한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및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 항목들은 금융계정 구성항목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격을 지닌 거래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경제발전 및 정책 변화의 효과를 측정하거나 전망하는데 널리 이용된다. * 연관검색어 : 상품수지, 서비스수지,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경제성장률] 일정기간(분기 또는 연간)중 한 나라의 경제규모, 즉 국민소득 규모가 늘어난 정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국민소득은 생산활동의 범위나 생산물의 가치평가 방법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개념으로 나뉘지만, 경제성장률을 계산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국민소득은 각 경제활동부문에서 .. 2022. 10. 24.
221023 나는 주식 대신 달러를 산다 02 - 1. 달러투자타이밍 1. 가장 좋은 매수 타이밍 1) 원,달러 환율 자체가 이전과 비교해 하락했을때 2)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달러 지수는 그대로이거나 오히려 상승했을때 3) 단, 달러 지수의 등락과 원/달러 환율의 등락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고 Gap이 생겼을때 투자 2. 달러Gap비율 = 달러지수 / 원달러 환욜 * 100 : 달러Gap비율이 높으면 원달러 환율 상승가능 : 달러Gap비율이 낮으면 원달러 환율 하락가능 적정환율= 현재 달러지수 / 52주 평균달러Gap 비율*100 예시) 구 분 달러지수 원달러환율 달러Gap비율 비 고 변경전 100 1,000 10 달러지수가 100→110 상승이 원달러 환율이 1,000으로 머물러 있다면 원화 가치가 10% 상승했다는 의미. 즉, 원화는 원래의 가치로 회귀할 가능성이 크.. 2022. 10. 23.
221022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이해 - 경기동향지수 경기종합지수와 달리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 방향만을 파악하는 것으로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식별하기 위한 지표로서 경기확산지수(diffusion index)라고도 한다. 경기동향지수는 경기변동이 경제의 특정부문으로부터 전체 경제로 확산, 파급되는 과정을 경제부문을 대표하는 각 지표들을 통하여 파악하기 위한 지표이다. 이때 경제지표 간의 연관관계는 고려하지 않고 변동 방향만을 종합하여 지수로 만든다. 경기 종합지수와 같이 선행, 동행, 후행지수로 작성되며, 계절변동과 불규칙 요인이 제거된 전체 계열 중에서 전월에 비해 증가한 지표수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타낸다. 예컨대 10개의 대표계열중 7개의 지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면 경기확산지수는 70%로 나타난다. 만약 경기동향지수.. 2022. 10. 22.
221021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이해 - 가산금리 기준금리에 신용도등의 차이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 (또는 스프레드,Spread)라 한다. ex) 은행이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위험에 따라 조달금리에 추가하는 금리를 말한다. 한편 만기가 길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기간 가산금리(텀 스프레드, Term Spread)라고 하는데 이것도 일종의 스프레드이다. 통상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 즉 스프레드가 커진다. 한편 채권시장에서는 비교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라고 한다. 보통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 때 동일한 만기의 미국 국채(Treasury Bond)나 리보(LIBOR, 런던은행간 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 등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서 발행되는게 보.. 2022. 10. 21.
221020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이해 - 원달러환율, 달러지수 [원달러 환율] 우리나라의 원화와 미국의 달러화의 교환 비율 [달러지수] 1973년 3월 기준 100으로 하여 세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의 평균가치를 비율로 산정해 지수화한 지표 (통화의 비중은 유로화 57.6%, 영국 파운드 11.9%, 캐나다의 달러 9.1%, 스웨덴의 크로나 4.2%, 스위스의 프랑 3.6%) 유로화가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기에, 달러 대비 유로화의 가치가 상승하면 달러지수는 하락하는 구조다. 즉, 달러투자는 미국 경제발전에 베팅하는 투자 ※ 원,달러 환율은 달러의 가격이 아닌, 원화와의 교환 비율이다. 이에 대해 기본 이해가 부족하면 환율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달러와 원화 가치는 물론, 돈의 흐름도 읽기 어렵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원리를 간단히 알아야 할 필요가 있.. 2022.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