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10

부자가 되는 길을 찾아주는 보도 섀퍼의 '돈' 독서후기 - 맺음말. 이제 더 무엇을 더 해야 할까? 맺음말. 이제 더 무엇을 더 해야 할까? 지식은 부자가 되는 것을 방해하는 두 개의 적을 없애준다. 위험과 두려움이 그것이다. - 찰스 기븐스의 ‘안전한 부’에서 - ※ 책의 빠른 요약을 위해 말을 짧게 함을 양해 바랍니다. 1. 키케로와 데모스테네스의 차이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당신은 당신 자신과 가족의 삶을 바꿀 기술과 전략을 배웠다. 따라서 자신의 삶과 경제적 상황을 바꾸는 일에 온 힘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고대의 걸출한 연설가인 키케로가 연설을 마치면 “너무 멋진 연설이다!!”, 데모스테네스가 연설을 하면 “이제 행동하자, 지금 당장!”이라 군중들이 말했다. 아는 것이 힘이라는 말은 틀린 말이다. 바르게 말하면 아는 것은 실제로 적용될 때만 힘이 된다 그러므로 지금 당장 강력한 목표를 실천해라... 2024. 1. 20.
행복은 만족을 느끼는 길에서 생겨난다. 행복에는 5가지 요소가 있다고 한다. 미국 심리학협회의 전 회장 마틴 셀리그만 박사가 언급한 말이다. 1. 긍정적인 감정과 기쁨 2. 성취 3. 인간관계 4. 참여 5. 의미 이중에서도 참여와 의미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우리의 삶을 더욱 의미 있게 만들어 줄 방법을 찾아 거기에 몰입한다면 장기간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매일 하는 행동이 더 큰 목적의식을 충족시킨다면, 가장 강력하고도 오래 지속되는 행복이 가능해질 것이다. 재정적으로 부유한 사람이란 목적의식에 부합한 돈 이외에 충분한 돈을 버는 사람이다. 재정적으로 부유하려면 먼저 삶에 목적의식이 있어야 한다. 반대로 목적의식이 없으면 언제나 충분한 돈을 갖게 되는지 알 방법이 없고, 결론적으로 부유해질 수 없다. 돈이 우리를 행복하게 만.. 2023. 7. 17.
목적의식이 주는 행복 삶에서 가장 중요한 건 '행복'일 것이다. 행복은 가장 원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오해하고 있는 부분도 있다. 동기가 무엇이든 우리가 살면서 하는 행동 대부분은 궁극적으로 스스로 행복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지만 내가 생각하는 방식으로 찾아오지 않는다.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어줄 다른 어떤 것을 끊임없이 찾는 일은 힘들다. 마치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처럼 이것을 찾는 일은 무척 힘든 일이다. 열심히 돈을 벌로 살림을 늘리는 이유는 돈이 우리에게 가져다줄 것이라 기대하는 기쁨 때문이다. 실제 그러하기도 하고, 잠시나마 행복해지기도 하지만 그 시간은 그렇게 길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내 원상태로 돌아가고 만다. 재산이 많다고 자동적으로 행복이 생기지 않는다. 주변환경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환경의 영향을 많이.. 2023. 7. 16.
목적의식에 따라 사는 삶은 행복하다. 스크루지의 삶을 다시 재조명해 보자. 스크루지의 삶에 있어 목적의식은 처음에는 분명 돈이었다. 그는 사람보다 돈을 더 아꼈으며, 돈이 모든 수단을 정당화시키는 목표라고 믿었다. 그의 목적의식에 따르면 우선순위는 명백하다. 자신을 위해 최대한 많은 돈을 버는 것이다. 그의 생산성은 언제나 돈을 버는 것에 집중되어 있었다. 스스로를 봤을 때 그는 자신의 목적의식을 이루는 데 있어 매우 생산적이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의 기준으로 보면 그건 비상한 삶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유령들이 찾아온 뒤 스크루지에게는 변화가 일어났다. 우선 그의 목적의식이 변경되었다. 그리고 그의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를 바꾸어 놓았고, 생산성을 위해 집중하는 대상 또한 바꾸어 놓았다. 이야기가 마무리될 무렵 스크루지의 목적의식은 더 이.. 2023. 7. 15.
목적의식을 가지고 살자. 훌륭한 삶을 창조하기 위해 목적의식을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가? 찰스 디킨스가 1843년에 쓴 고전 은 인색하고, 냉담하고, 사랑받지 못하던 스크루지가 사려 깊고, 배려심 많고, 사랑받는 사람으로 변하는 이야기로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의 삶은 스스로의 선택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잘 보여 주는 최고의 작품 중 하나이다. ‘스크루지 영감' 이야기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마음이 차갑고, 돈 한 푼에도 벌벌 떨고, 탐욕스러우며 크리스마스를 비롯해 사람들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그 모든 것을 경멸하는 스크루지는 인색함과 쩨쩨함의 대명사다. 어떻게 보면 우리에게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지도해 주는 선생님이 되기에 가장 거리가 먼 사람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 그는 우리에게 훌.. 2023. 7. 14.
나의 인기, 행복, 자존감은 사람을 다루는 능력에 있다. 나는 사람을 다루는 능력을 배우려 한다. 최근 데일카네기의 '인간 관계론'도 읽고 있다. 세상만사 인간관계로 모든 것이 형성되어 있고, 모든 것이 비즈니스이기에 중요하기에 안 하고 싶어도 안 할 수 없다. 그래서 이 책을 접하면서 지극히 평범하지만 평범하지 않은 인간관계에 대해 많은 것을 깨닫고 되었다. 이를 정리하여 순차적으로 올리면서 나를 또 한 번 성장할 수 있도록 바꾸어 보려 한다. 참고로 미국의 강철왕 '앤드류 카네기(1835-1919)'가 아니라 성이 같은 '데일 카네기(1888-1955)'가 저자인데 사람을 대하는 기술을 전문적으로 터득하고 많은 이들에게 처세, 자기 관리, 화술, 리더십등에 대한 가르침을 주고 있다. 앞으로 이 책으로 활용할 필수 조건을 프롤로그에서 언급하고 있어 간단히 요.. 2023.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