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78

나에겐 결정을 올바르게 만들 수 있는 힘과 통제력이 있다. 결정을 내리는 것보다 결정을 '올바르게' 내리는데 무게를 두어야 한다. 좋은 결정도 잘못된 행동관리로 나쁜 결정으로 바뀔 수 있다. 반대로 나쁜 결정도 지속적인 좋은 결정과 올바른 행동으로 좋을 결정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내가 결정하기 애매한 상태라면 이것이 올바를지, 틀릴지 결정할 가능성이 반반이다. 일단 결정을 내렸으면 전에 언급했다시피 집중하고, 우선순위를 정해 끝내는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모든 결정은 다른 결정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맨 처음에 한 결정은 점차 잊히게 되며 내가 원하는 결과에 점점 다가갈수록 좋은 결정을 할 기회를 계속 얻게 된다. 또한 플랜 B를 준비하려고 노력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플랜 B를 마련해 두면 의지할 곳이 생기면서 플랜 A에 전력을 다해 집중하지 못할 수 있다. 대.. 2023. 2. 27.
Chat GPT란 무엇인가? 어떻게 사용하는가? (What is / How to use Chat GPT?) Chat GPT라는 것이 지구촌을 사로잡고 있다. IT 업계의 많은 전문가들은 올해 괄목할 만한 AI 혁신이 있을 거라 예상했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마주하는 혁신의 규모는 빠른 기술 발전 속도를 감안해도 그 기대를 뛰어넘는다. 경이로울 정도다. 지금까지 나온 인공지능(AI) 중에서 가장 똑똑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키워드로 하는 검색이 이젠 구식이다라고 선언하고 있다. 질문을 글로 쓰면 글로 대답을 멋지게 해 준다.사람의 요구에 따라 논문도 쓰고, 시와 수필도 쓰고, 국어 숙제도 해준다. 눈 깜짝할 사이에 ‘대화형 검색 시대’가 훅 다가와 버렸다. 1월부터 우리나라 뉴스에 쉴 새 없이 나오고 대통령까지 언급하기도 한 챗 GPT 때문에 떠들썩했고 언론상에서 매일 최소 하나의 기사가 메인으로 다루고 있다.. 2023. 2. 26.
나는 이제 뭘 해야 할지 안다. 알고 행하지 않는 것은 아예 모른 것도 똑같다. 실행하는 데는 어떤 비밀이나 노하우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그냥 빠르게 일단 해보면 되지 않을까? 해야 할 일을 아래와 같이 생각하고 실행해 보자. 1. 고민만 하지 말고 실행해 보자. 과하게 고민하거나 일의 크기에 압도당해서 미루지 말고 작게라도 시작해 보자. 2. 모든 집중방해 요소를 제거하고, 스스로를 고립시켜야 한다. 일을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자금, 의지등)을 확보했는지 재확인하고, 집중 방해요소(업무, 다른 생각등)를 모두 제거해야겠다. 아니 엎질러진 물이란 생각으로 내가 벌려놓은 것들을 이젠 해야 한다. 서두르자. 3. 빈 공간에서 벗어나자. 망설이지 말자. 무인지대에서 벗어나자. 지금 결정하고 계속 나은방향으로 결정을 개선하자. 4. .. 2023. 2. 26.
약속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자. 약속은 무심코 내뱉은 말과는 차원이 다르다. 내가 약속할 때 사람들은 나를 믿는다. 약속은 나의 가치에 대한 평가이다. 나의 지켜진 약속은 신뢰, 신용, 호의, 자산, 대출가격, 추천, 평판이 좋아 공유할 가치가 있는 브랜드를 만든다. 만약 내가 반드시 약속을 지키는 사람일 경우 약속을 어길 경우 스스로가 실없고, 신뢰할 수 없고 실망스러운 사람으로 여겨진다.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누군가는 내가 약속을 지키리라고 믿었을 것이다. 약속을 어김으로써 나는 나를 믿는 사람을 아주 힘든 상황에 처하게 만들 수 있다. 작은 약속으로 시작한다면 더 큰 약속을 할 수 있는 나의 '약속 근육'이 커진다. 아무리 힘들고, 하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더라도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하는 게 중요하다. 다루기 힘든 감정, 에너지와.. 2023. 2. 25.
강점에 집중하고 흐름에 올라타자. 강점에 집중하고 흐름에 올라타자. 100퍼센트 전력을 다했다면 결정을 더 잘할 수 있고 그 결정을 고수할 수 있다. 변덕을 부리고, 하다 말다 하면 신뢰감이 줄어든다. 초지일관 전력을 다하면 올바른 결정을 더 많이 내리고 추진하는 사람이 되므로, 다른 사람들이 나를 신뢰할 수 있다. 전력을 다할 때는 포기할 때만큼 에너지가 든다. 많은 사람들이 실수해도 괜찮지만 같은 실수는 되풀이하지 말라고 한다. 하지만 우리 대부분은 똑같은 실수를 되풀이한다. 또한 똑같은 성공도 되풀이한다. 나이가 들수록 우리의 습관과 성격적 특성이 내 안에 깊숙이 베이 들기 때문에 나의 패턴을 되풀이한다. 따라서 강점에 집중하고 바꿀 수 없는 걸 바꾸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하기보다는 약점은 다른 누군가에게 맡기는 게 타.. 2023. 2. 23.
그릿(Grit)을 키우자. 성공한 사람들은 분야별 특성과 함께 공통적 특성이 있다. 도서인 ‘그릿(GRIT)’을 통해 작가인 엔젤라 더크워스가 분석한 주요 내용이 '공통 특성들'이었다. 분야에 상관없이 크게 성공한 사람들은 운도 좋았고 재능도 있었다. 하지만 이야기는 과거부터 들어와서 의아할 것도 없었다. 하지만 그게 전부가 아니었다. 작가가 글을 작성하기 이전에 진행한 면담 중 성공한 사람들이 본인의 잠재력을 실현해 보기도 전에 중도 포기하거나 흥미를 잃어 모두를 놀라게 했던 이야기가 있었다. 하지만 실패한 뒤에도 계속 시도하는 의지가 매우 중요하지만 쉽지 않은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일이 잘 풀릴 때는 잘 해내지만 잘 안 풀릴 때는 무너져버리는 사람들이 있다.” 성공한 사람은 끈질기다는 특성이 있다. 이들과의 면담에서 거론.. 2023.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