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처서(處暑)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
처서(處暑)는 24절기 중 열네 번째 절기로, '더위가 그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여름의 뜨거운 더위가 점차 식어가고 가을의 서늘한 기운이 느껴지기 시작하는 절기입니다.
처서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있으며, 보통 양력 8월 23일이나 24일 무렵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처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처서 개요
處暑 / 二十四節氣
여름 더위가 물러나는 시기, 처서(處暑)
“더위는 물러가고, 가을이 성큼 다가온다”
처서(處暑)는 24절기 중 열네 번째 절기로, 매년 8월 23일경에 찾아옵니다.
한자로 ‘처(處)’는 ‘물러나다’, ‘머무르다’는 뜻이고, ‘서(暑)’는 ‘더위’를 뜻합니다.
즉, 처서는 “더위가 물러간다”는 의미의 절기입니다.
입추가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형식적인 절기였다면,
처서는 체감상으로도 실제 더위가 한풀 꺾이는 시기입니다.
📅 2025년 처서: 8월 23일 (토요일)
2. 처서 주요 내용
處暑 Details
1) 처서의 유래
처서는 태양이 황경 150도에 도달하는 날을 기준으로 하며,
고대 중국의 농경 문화에서 기원한 24절기 중 하나입니다.
과거 농부들은 이 시기를 기준으로
- 가을 농사 본격 시작
- 벼, 콩, 고추 등의 작물 점검
- 가을 장마와 태풍 대비를 준비했습니다.
한국에서도 조선시대 『동국세시기』 등 기록에서
처서 전후 농사와 관련된 일들이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처서의 기후
처서 무렵부터는 낮더위가 줄고,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기운이 느껴지기 시작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기후 특징이 있습니다:
- 열대야 현상이 사라지고 밤바람이 시원해진다
- 들판의 벼 이삭이 팽팽하게 올라오며, 가을 수확 준비가 본격화된다
- 하지만 폭염이 짧게 재등장하거나, 태풍이 오는 시기이기도 하므로 방심은 금물
🌀 8~9월은 태풍의 길목이기 때문에, 처서 전후로 기상 변화에 유의해야 합니다.
3) 처서의 풍습
처서에는 다음과 같은 전통 풍속이 있습니다:
① 처서에 날 잡아 ‘벌초’
‘처서 전후’는 **벌초(先祖 묘소 풀베기)**를 하는 시기로 여겨졌습니다.
여름 장마와 폭염이 지나고 풀이 무성하게 자라는 시기이므로,
가을 제사를 앞두고 미리 벌초를 하며 조상에 대한 예를 갖췄습니다.
② 처서에 때아닌 수확
농가에서는 고추, 참깨, 콩, 옥수수 등 여름 작물의 마무리 수확을 합니다.
‘처서가 지나면 벼 이삭에 영글기 시작한다’는 말처럼,
농작물 생육이 성숙기에 접어드는 전환점입니다.
③ 물놀이의 끝
‘처서가 지나면 모기 입도 삐뚤어진다’는 속담이 있듯,
처서 이후에는 더위가 수그러들며 물놀이 시즌도 자연스럽게 마감됩니다.
4) 처서의 음식
처서 음식은 여름 내내 지친 몸을 달래고, 가을맞이 기운을 보충하는 음식들로 구성됩니다.
① 찹쌀밥과 콩밥
- 여름에 빠진 기운을 보충하기 위해,
찹쌀과 콩을 섞은 밥을 지어 먹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 이는 영양 보충 + 수확에 대한 감사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
② 제철 과일
- 수박, 참외, 포도, 복숭아 등 여름 과일의 막바지이자,
배, 사과, 감 등 가을 과일이 슬슬 등장하는 시기입니다. - 처서에는 가족끼리 과일을 나눠 먹으며 더위가 물러가는 시기를 기념하곤 했습니다.
③ 처서 수박
- “처서 수박은 껍질도 약이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 더위 속에서 마지막으로 시원한 수박을 먹고,
남은 껍질은 된장에 무쳐 반찬으로 활용하는 지혜도 전해집니다.
✦ 마무리: ‘더위는 가고, 가을이 온다’
처서는 더위의 끝자락이자 가을의 문턱입니다.
입추가 형식적인 가을이라면, 처서는 체감되는 가을의 시작입니다.
이 시기를 잘 활용하면
- 건강 회복,
- 가을 농사 준비,
- 풍요의 계절을 맞이할 리듬을 잡을 수 있습니다.
자연의 변화에 귀 기울이고,
우리 삶도 조금씩 가을의 리듬으로 전환해보는 처서가 되길 바랍니다.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처서'를 이상과 같이 이해해 보았습니다.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하' 이해하기
입하, 여름의 시작! 24절기 입하의 의미부터 풍습, 음식까지입하는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로, 본격적인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절기입니다.오늘은 입하의 뜻과 유래, 기후 변화, 전통 풍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곡우'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곡우(穀雨)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곡우, 24절기 중 마지막 봄 절기! 유래부터 풍습, 음식까지 알아봅니다.곡우는 24절기 중 여섯 번째 절기로, 봄이 끝나가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청명'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청명(淸明)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청명은 24절기 중 다섯 번째 절기로, 봄이 한층 깊어지는 시기를 알리는 중요한 날입니다.오늘은 청명의 뜻과 유래, 기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춘분'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춘분(春分)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24 절기 중 춘분은 봄의 한가운데를 맞이하게 됩니다 춘분(春分)은 24 절기 중 네 번째 절기로,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경칩'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경칩(驚蟄)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경칩(驚蟄)은 24절기 중 세 번째 절기로,입춘(立春)과 우수(雨水) 뒤에 오며 춘분(春分) 전에 해당합니다.보통 양력 3월 5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우수'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우수(雨水)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 24 절기는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농경 사회에서 날씨와 계절 변화에 맞춰 농사일을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춘'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춘(立春)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은 2월 04일에서 05일에는 남부지방에서부터 봄을 알리기 시작합니다.- 입춘대길 건양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한'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한(大寒)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새해를 맞아 1년 중 가장 추운 날을 알리는 소한이라 언급했지만 대한도 만만치 않습니다. 대한(大寒)은 24 절기 중 마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한'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한(小寒)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새해를 맞아 1년 중 가장 추운 날을 알리는 소한이 양력 01월 05일경입니다.소한(小寒)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동지'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동지(冬至)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한 해에 가장 마지막 절기이자, 북반구에서는 낮이 제일 짧은 날인 동지가 12월 21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대설(大雪)과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설'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설(大雪)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눈이 가장 많이 내리면서 본격적인 겨울을 알리는 대설은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눈은 보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설'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설(小雪)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겨울을 본격적으로 시작됨을 알리는 소설은 11월 22일에는 통상 살얼음이 얼기 시작합니다.무 배추 캐여 들여 김장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동'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동(立冬)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겨울 시작을 알리는 입동인 11월 07일에는 영하권 추위를 보이고 있습니다.추분에서 46일이면 입동(立冬)인데, 초목이
bewall2401.com
태양 움직임으로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절기 이해하기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계절이 바뀌고, 계절을 세분화한 24 절기를 이해해 보려 합니다.24 절기에 해당하는 날에는 TV 뉴스 인트로나 날씨를 소개할 때 "절기상 입동인 오늘은 전국이 추운..."라는
bewall2401.com
'소소한 잡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추' 이해하기 (5) | 2025.07.20 |
---|---|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서' 이해하기 (0) | 2025.07.07 |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서' 이해하기 (0) | 2025.06.20 |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하지' 이해하기 (0) | 2025.06.05 |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망종' 이해하기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