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서(大暑)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
대서(大暑)는 24절기 중 열두 번째 절기로, '큰 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일 년 중 더위가 가장 심한 시기를 나타나는데요.
대서는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에 있으며, 보통 양력 7월 22일이나 23일 무렵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대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대서 개요
大暑 / 二十四節氣
대서(大暑)는 24절기 중 열세 번째 절기로, 매년 7월 22일경에 해당합니다.
‘대서’는 한자로 ‘큰 대(大)’, ‘더울 서(暑)’로, ‘가장 더운 시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시기는 여름철 더위가 극에 달하는 시점으로,
대서가 지나면 본격적인 여름 폭염이 지속되며 여름 농사와 건강 관리의 중요한 시기입니다.
2. 대서 주요 내용
大暑 Details
1) 대서의 유래
대서는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24절기 체계에서 유래하였으며, 태양이 황경 120도에 이를 때를 기준으로 설정되었습니다.
농업 사회에서의 중요한 절기로, 더위가 절정에 달하고 강한 태양광 아래서 농사에 필요한 일들이 이루어지는 시점으로 각인되었습니다.
대서의 유래는 농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 시기에는 벼농사, 밭농사 등에서 물이 필요하고 강한 햇볕을 필요로 하는 작물들이 주로 자라고 있었습니다.
2) 대서의 기후
대서는 한여름의 절정에 해당하며, 폭염과 높은 습도가 특징입니다.
- 기온은 35도 이상으로 오르는 날이 많으며, 습도가 높고 기온 차가 커 온열질환에 특히 유의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 장마가 끝난 후에는 습기와 고온의 기온 차로 인해 폭우나 갑작스러운 소나기가 내리기도 합니다.
- 열대야가 시작되는 시기로, 밤에도 기온이 25도 이상 유지되어 잠을 자는 것이 힘든 날들이 많아집니다.
이 시기에는 농작물의 생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사람들은 폭염을 피해 야외 활동을 자제하며 실내에서 활동을 이어갑니다.
☀️ 대서의 기후는 극심한 더위와 습도가 특징이므로, 폭염 대비가 중요한 시기입니다.
3) 대서의 풍습
대서에는 더위와 폭염에 대비하는 전통적인 풍습과 생활 지혜가 많습니다.
① 더위 식히기 위한 여름철 풍습
- 대서 무렵에는 냉방이나 수분 보충에 집중하는 시기입니다. 예전에는 ‘대서에 물놀이’를 즐기기도 했으며, 계곡이나 바다에서 더위를 식히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 또한, 땀을 많이 흘리면서 체내 수분이 빠져나가므로, 보양식과 함께 물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② 무더위에 대비한 여름나기
- 선풍기나 부채, 차양막 등을 활용하여 더위를 식히는 방법이 사용되었습니다.
- 더위를 식히기 위한 바람막이나 모자 착용, 천을 이용한 얼굴 가리기 등의 전통적인 방법도 일반적이었습니다.
③ 대서에 대한 농업 관련 풍습
- 대서에는 벼 농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며, 농민들은 햇볕 아래서의 농사일에 집중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열대성 농작물이나 양념채소 등의 관리가 중요했기 때문에, 농사와 관련된 기상 관찰이 중요한 시점이었습니다.
4) 대서의 음식
대서는 더위를 이기고 기력을 보충하는 음식들이 중요합니다.
① 삼계탕, 닭죽
- 대서의 대표적인 음식은 삼계탕과 닭죽입니다. 삼계탕은 보양식으로, 더위에 지친 몸을 회복시키는 데 좋습니다. 특히 닭고기는 단백질과 열을 보충해주어 무더위 속에서 힘을 북돋는 음식으로 인식됩니다.
② 수박, 참외, 복숭아
- 수박은 대서의 대표적인 여름 과일로, 수분을 보충하고 열을 식히는 데 효과적입니다. 참외, 복숭아도 수확이 시작되어 신선한 과일을 즐기며 더위를 피하는 음식으로 인기가 있습니다.
③ 차가운 국수, 냉면
- 냉면이나 차가운 국수는 대서에 자주 즐기는 음식입니다. 차가운 국수는 체온을 낮추는 데 좋으며, 시원하고 담백한 맛이 더위 속에서 입맛을 돋워줍니다.
④ 부추, 오이 등 여름 채소
- 대서에는 부추와 오이 등의 채소가 많이 소비됩니다. 부추는 열을 내리고 오이는 수분을 보충하는 데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부추전이나 오이무침 같은 간단한 여름 요리는 대서에 자주 먹는 음식입니다.
대서(大暑)는 여름철 더위의 절정을 의미하는 절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기온과 습도가 매우 높고, 농사와 건강 관리가 중요한 시점이기도 합니다.
대서의 풍습과 음식을 통해 몸과 마음의 에너지를 보충하고, 여름을 건강하게 보내는 방법을 실천해 보세요.
여름철 폭염을 대비하여 적절한 수분 보충과 보양식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건강 관리에 유의해야 합니다.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서'를 이상과 같이 이해해 보았습니다.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하' 이해하기
입하, 여름의 시작! 24절기 입하의 의미부터 풍습, 음식까지입하는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로, 본격적인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절기입니다.오늘은 입하의 뜻과 유래, 기후 변화, 전통 풍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곡우'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곡우(穀雨)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곡우, 24절기 중 마지막 봄 절기! 유래부터 풍습, 음식까지 알아봅니다.곡우는 24절기 중 여섯 번째 절기로, 봄이 끝나가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청명'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청명(淸明)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청명은 24절기 중 다섯 번째 절기로, 봄이 한층 깊어지는 시기를 알리는 중요한 날입니다.오늘은 청명의 뜻과 유래, 기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춘분'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춘분(春分)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24 절기 중 춘분은 봄의 한가운데를 맞이하게 됩니다 춘분(春分)은 24 절기 중 네 번째 절기로,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경칩'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경칩(驚蟄)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경칩(驚蟄)은 24절기 중 세 번째 절기로,입춘(立春)과 우수(雨水) 뒤에 오며 춘분(春分) 전에 해당합니다.보통 양력 3월 5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우수'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우수(雨水)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 24 절기는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농경 사회에서 날씨와 계절 변화에 맞춰 농사일을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춘'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춘(立春)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은 2월 04일에서 05일에는 남부지방에서부터 봄을 알리기 시작합니다.- 입춘대길 건양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한'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한(大寒)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새해를 맞아 1년 중 가장 추운 날을 알리는 소한이라 언급했지만 대한도 만만치 않습니다. 대한(大寒)은 24 절기 중 마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한'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한(小寒)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새해를 맞아 1년 중 가장 추운 날을 알리는 소한이 양력 01월 05일경입니다.소한(小寒)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동지'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동지(冬至)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한 해에 가장 마지막 절기이자, 북반구에서는 낮이 제일 짧은 날인 동지가 12월 21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대설(大雪)과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설'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설(大雪)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눈이 가장 많이 내리면서 본격적인 겨울을 알리는 대설은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눈은 보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설'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설(小雪)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겨울을 본격적으로 시작됨을 알리는 소설은 11월 22일에는 통상 살얼음이 얼기 시작합니다.무 배추 캐여 들여 김장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동'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동(立冬)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겨울 시작을 알리는 입동인 11월 07일에는 영하권 추위를 보이고 있습니다.추분에서 46일이면 입동(立冬)인데, 초목이
bewall2401.com
태양 움직임으로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절기 이해하기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계절이 바뀌고, 계절을 세분화한 24 절기를 이해해 보려 합니다.24 절기에 해당하는 날에는 TV 뉴스 인트로나 날씨를 소개할 때 "절기상 입동인 오늘은 전국이 추운..."라는
bewall2401.com
'소소한 잡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서' 이해하기 (0) | 2025.06.20 |
---|---|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하지' 이해하기 (0) | 2025.06.05 |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망종' 이해하기 (0) | 2025.05.20 |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만' 이해하기 (2) | 2025.05.06 |
진로골드 솔직 후기 : 2025년 소주 트렌드, 맛·가격·꿀조합 총정리! (2)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