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만(小滿)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
5월 중순이 되면 찾아오는 절기, ‘소만(小滿)’.
이 시기는 자연이 한껏 생기를 머금고, 여름의 문턱에 들어서는 때입니다.
오늘은 소만의 뜻부터 전통 풍습, 소만에 먹는 음식까지
하나하나 자세히 소개해드릴게요!
그래서 오늘은 '소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소만 개요
小滿 / 二十四節氣
소만(小滿)은 24절기 중 8번째 절기로,
태양의 황경이 60도에 도달할 때를 말합니다.
2025년 기준으로는 5월 20일경에 해당합니다.
‘소만’이라는 이름은 “만물이 점차 차오르기 시작한다”는 뜻에서 유래합니다.
- 보리, 밀 등의 곡식이 알곡을 맺기 시작하고,
- 산과 들에는 초록이 가득해지는 시기이죠.
2. 소만 주요 내용
小滿 Details
1) 소만의 유래
소만은 중국 주나라 시대부터 사용된 절기로,
한 해의 농사를 준비하며 계절의 흐름을 알기 위해 설정된 날짜입니다.
‘소만(小滿)’이라는 말은
곡식이 아직은 ‘조금 찼다’는 의미로,
본격적인 여름과 수확의 절정을 앞두고 있다는 상징을 담고 있습니다.
'소만’ 다음 절기는 ‘망종(芒種)’으로,
모내기 철이 본격화되기 직전 단계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연결 고리를 갖고 있습니다.
2) 소만의 기후
- 평균 기온이 20도 이상으로 오르며 초여름 날씨가 시작됩니다.
- 남부 지역에서는 모내기 준비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 북부에서는 보리 익는 시기로 농가의 바쁜 일정이 시작됩니다.
- 비가 잦지는 않지만, 가뭄에 대한 걱정이 많아지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 농사와 기후가 맞물려 매우 민감한 시기로 여겨졌죠.
3) 소만의 풍습
A. 보리밭 점검
- ‘보리밭에 들어가면 안 된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이 시기 보리는 민감합니다. - 발자국 하나로도 수확량이 줄 수 있어
보리밭 출입을 삼가야 한다는 전통이 있었어요.
B. 모심기 준비
- 소만부터 모판 정리, 논 준비, 물 대기 등
본격적인 모내기 전 작업이 활발하게 시작됩니다.
C. 부부의 날?
- 조선시대에는 일부 지역에서 부부 간 화합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냈다고도 전해집니다.
4) 소만의 음식
소만에는 특별히 ‘보리 음식’과 신선한 채소를 이용한 입맛 돋우는 제철 음식이 인기였습니다.
✅ 보리밥
- 여름철 입맛이 떨어질 때 먹던 보리밥 + 열무김치 조합은 이 시기를 대표하는 서민 음식입니다.
✅ 보리개떡
- 찰보리로 만든 개떡은 간식으로도 좋고, 소화도 잘 되어 어른들에게도 인기가 많았죠.
✅ 상추쌈 & 제철 나물
- 들기름 살짝 둘러 무친 방풍나물, 씀바귀, 취나물 등이 입맛을 살려주는 대표 나물 음식입니다.
소만은 이름처럼 ‘작게 찬’ 상태에서 자연과 인간의 기다림과 준비가 함께하는 절기입니다.
자연이 주는 신호에 귀 기울이며
몸도 마음도 균형 잡힌 생활을 준비하는 시기,
소만에는 보리밥 한 그릇에 봄의 끝자락을 느껴보세요!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만' 을 이상과 같이 이해해 보았습니다.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하' 이해하기
입하, 여름의 시작! 24절기 입하의 의미부터 풍습, 음식까지입하는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로, 본격적인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절기입니다.오늘은 입하의 뜻과 유래, 기후 변화, 전통 풍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곡우'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곡우(穀雨)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곡우, 24절기 중 마지막 봄 절기! 유래부터 풍습, 음식까지 알아봅니다.곡우는 24절기 중 여섯 번째 절기로, 봄이 끝나가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청명'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청명(淸明)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청명은 24절기 중 다섯 번째 절기로, 봄이 한층 깊어지는 시기를 알리는 중요한 날입니다.오늘은 청명의 뜻과 유래, 기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춘분'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춘분(春分)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24 절기 중 춘분은 봄의 한가운데를 맞이하게 됩니다 춘분(春分)은 24 절기 중 네 번째 절기로,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경칩'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경칩(驚蟄)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경칩(驚蟄)은 24절기 중 세 번째 절기로,입춘(立春)과 우수(雨水) 뒤에 오며 춘분(春分) 전에 해당합니다.보통 양력 3월 5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우수'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우수(雨水)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 24 절기는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농경 사회에서 날씨와 계절 변화에 맞춰 농사일을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춘'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춘(立春)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은 2월 04일에서 05일에는 남부지방에서부터 봄을 알리기 시작합니다.- 입춘대길 건양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한'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한(大寒)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새해를 맞아 1년 중 가장 추운 날을 알리는 소한이라 언급했지만 대한도 만만치 않습니다. 대한(大寒)은 24 절기 중 마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한'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한(小寒)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새해를 맞아 1년 중 가장 추운 날을 알리는 소한이 양력 01월 05일경입니다.소한(小寒)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동지'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동지(冬至)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한 해에 가장 마지막 절기이자, 북반구에서는 낮이 제일 짧은 날인 동지가 12월 21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대설(大雪)과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설'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대설(大雪)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눈이 가장 많이 내리면서 본격적인 겨울을 알리는 대설은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눈은 보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설'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소설(小雪)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겨울을 본격적으로 시작됨을 알리는 소설은 11월 22일에는 통상 살얼음이 얼기 시작합니다.무 배추 캐여 들여 김장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동'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동(立冬)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겨울 시작을 알리는 입동인 11월 07일에는 영하권 추위를 보이고 있습니다.추분에서 46일이면 입동(立冬)인데, 초목이
bewall2401.com
태양 움직임으로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절기 이해하기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계절이 바뀌고, 계절을 세분화한 24 절기를 이해해 보려 합니다.24 절기에 해당하는 날에는 TV 뉴스 인트로나 날씨를 소개할 때 "절기상 입동인 오늘은 전국이 추운..."라는
bewall2401.com
'소소한 잡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로골드 솔직 후기 : 2025년 소주 트렌드, 맛·가격·꿀조합 총정리! (2) | 2025.05.03 |
---|---|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하' 이해하기 (0) | 2025.04.17 |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곡우' 이해하기 (1) | 2025.04.12 |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청명' 이해하기 (3) | 2025.04.11 |
산토리(Suntory)의 역사 - 일본 위스키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과정 (4)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