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집중11

왜 집보다 스타벅스가 공부가 더 잘 될까? 환경이 단순히 물건으로 채워진 공간으로 생각하지 않았으면 한다. 관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하자. 우리가 주변 공간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의 관점에서 생각하자. 누군가에게 거실의 소파는 매일 밤 한 시간씩 책을 읽는 장소가 될 수 도 있고, 텔레비전을 보며 쉬는 장소가 될 수도 있다. 똑같은 장소라 해도 사람들마다 각기 다른 기억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습관도 달라진다. 새로운 환경에서는 습관을 바꾸기가 쉽다. 우리가 현재의 습관을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몰아가는 촉매들과 신호들에서 탈출하게 도와주기 때문이다. 색다른 카페, 공원, 벤치, 평소 거의 이용하지 않는 방구석 자리등 새로운 장소에서 새로운 습관을 만들어 보자. 경쟁신호들을 눈앞에 둔 상태에서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것보다 새로운 맥락.. 2023. 3. 24.
25분 동안 집중해서 일하고 5분 쉬기를 반복하자. 포모도르 기법을 아는가? 최대한 집중력과 신선한 창의성을 제공하는 철학으로 포모도르 기법이라 부른다. 공부를 할 때 밤새워서 하는 건 효과가 없다고 한다. 시간 관리 전문가인 프란체스코 시실로의 연구에 근거하여 토마토(포모도르, 이태리어) 모양의 주방 타이머로 10분을 설정한 뒤, 그 10분 동안은 다른 어떤 일도 하지 않고 오로지 공부에 매진했다고 한다. 타이머가 울려서 쉴 수 있을 때까지 집중했고, 결과적으로 휴식시간을 가지면서 많은 공부를 했다고 한다. 포모도르 기법의 2가지 효과이다. 1. 짧은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일하면 꾸준한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2. 규칙적으로 휴식을 취하자. 그래야 동기를 강화하고, 창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어떤 중대한 일에 직면했을 때 짧은 시간 동안 열심히 일을.. 2023. 1. 23.
멀티태스킹의 함정 스스로에게 '멀티태스킹'을 하고 있다는 거짓말을 쉽게 한다. 나는 한 번에 2가지 이상의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면서 여러 다른 일을 해야 하는 다채로운 삶을 즐긴다. 어떤 사람들은 멀티태스킹이 능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나 스스로도 그렇다고 확신하고 좋아한다. 하지만 하지 않고 건너뛰는 일은 바로 '휴식'이다. 멀티태스킹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멀티태스킹은 의식적으로 관심을 두지 않고서 적극적으로 중요한 일을 해내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운동을 하면서 팟캐스트를 듣는다면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멀티태스킹이다. 회의도중 전혀 다른 다른 일로 누군가에게 문자를 보내는 건 멀티태스킹이 아니다. 장거리 비행을 하며 글을 쓰거나 책을 읽는 것은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멀티태스킹이다. 상대방과 대화를.. 2023. 1. 9.
나는 시간이 아주 많은 어른이 되고 싶었다. ’ 나는 시간이 아주 많은 어른이 되고 싶었다.‘는 피터 빅셀의 산문집 제목이다. 전 세계 20여 개국의 독자를 사로잡은 ‘책상은 책상이다’의 작가 페터 빅셀이 스위스의 유력 주간지 에 기고한 칼럼들을 엮은 산문집이다. 스위스의 모든 교과서에 글이 실려 있을 정도로 스위스 국민의 존경과 사랑을 받고 있는 페터 빅셀이 전하는 신랄하면서도 재미있게 포장된 일상의 이야기가 있다. 이 책에서 나에게 의미가 있었던 내용들을 곰곰이 생각해 본다. "과거, 그러니까 옛날이 지금보다 나은 이유는 지금보다 뭔가 하나 더 있었기 때문이다. '시간'이라는 것." 원래는 좋아했지만 살아가다가 잃어버리는 것이 많다. 시간이 아주 많이 흐른 뒤에야 비로소 그게 없어진 지 이미 오래라는 것을 깨닫는다. 예를 들면 열정, 현대 재즈.. 2022. 12. 27.
어떤 일을 할 때는 항상 끝맺음이 중요하다. 나를 성장시키기 위해 계속 고민하는 것이 2가지가 있다. 첫 번째, 업무를 하면서 어떤 과제를 하기 싫어서 계속 피해 다녔다. 하지만 피한다고 해서 피해지는 것이 아니라 계속 나를 따라다니며 스트레스를 주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 나의 성장을 위해 공부를 하다 보면 종류가 너무 많아 쉽게 포기하게 되고, 집중을 못하게 되는 것 같다. 그러면서 앞으로 내가 뭘 할지에 대한 두려움이 스멀스멀 밀려온다. 2개의 고민에 대한 해결책을 책을 통해 얻어본다. 어떤 새로운 과제를 착수하든, 해결하지 못했던 과제가 계속 따라다니며 새로운 시작을 방해할 것이다. 어떤 일을 할 때는 '끝맺음'이 가장 중요하다. 결과가 좋지 않다고 해도, 어떤 식으로든 결론을 짓고, 끝맺음을 해놓을 때 비로소 그 일에서 우리는 벗어나 새.. 2022.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