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우수(雨水)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
24 절기는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농경 사회에서 날씨와 계절 변화에 맞춰 농사일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우수(雨水)는 24 절기 중 두 번째 절기로,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立春)과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경칩(驚蟄) 사이에 위치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우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우수 개요
雨水 / 二十四節氣
우수(雨水)는 24 절기 중 하나로, 한자뜻을 풀이하면 '빗물'이라는 의미인데요.
24 절기의 2번째로 태양 황경이 330도가 될 때입니다.
양력기준이기 때문에 2월 19일~20일에 해당됩니다.
ㅎㅎ
ㅎㅎ
우수가 되면 겨울 추위가 끝나가고 봄바람이 불어 온다는데서 대동강 물이 풀리게 되는 날이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영어로는 Rain Water이며,
우수는 빗물이라는 뜻으로 겨울철 추위가 풀려가고
눈, 얼음, 서리가 녹아 빗물이 되고 한파와 냉기가 점차 사라지며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절기이며
입춘과 함께 겨울의 마무리와 봄의 시작을 알리며
땅에는 초목의 새싹이 트이고 봄이 오게 됨을 알리게 되는 절기이기도 합니다.
농경사회에서는 농사일을 본격적으로 준비할 때이기 때문에
옛 농민들은 새해 농사 계획을 세우고 한 해 농사에 쓸 좋은 씨앗을 고른 다음,
먼저 논밭 태우기를 해서 들판의 해충이나 알을 태워버려 타다 남은 재는
다음 농사를 위한 거름으로 사용했습니다.
2. 우수 주요 내용
雨水 Details
1) 우수의 유래
계절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는 농경 사회의 생활패턴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우수(雨水)는 24 절기 중 두 번째 절기로, 입춘과 경칩 사이에 위치합니다.
보통 양력 2월 18일이나 19일경에 해당하며,
겨울이 가고 봄이 다가오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우수 역시 중국의 전통적인 농경문화에서 비롯되었으며,
눈이 녹아 비가 내리고 만물이 소생하는 자연 현상을 반영하는데요.
우수(雨水)는 글자 그대로 '비가 내린다'는 뜻으로,
겨울 동안 얼었던 대지가 녹고 봄기운이 시작됨을 알립니다.
2) 우수의 기후
우수가 돼도 아침 기온이 영하 5도 아래로 떨어지는 추위가 계속되거나 눈이 쏟아지는 경우도 심심찮게 있습니다.
그래도 우수 절기가 지나면 영하 10도 안팎의 한파도 더 이상 찾아오지 않고
꽃이 열리는 나무에 겨울눈이 생기며 얼었던 땅이 녹는 등
봄으로 서서히 접어들기 때문에 겨울은 사실상 끝났다고 봐야 합니다.
또한 이상 고온이 오면 봄 날씨를 보이기도 합니다.
3) 우수의 풍습
우수와 관련된 다양한 풍속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우수 시기에는 농사를 준비하고, 봄맞이 행사를 즐겼습니다.
- 농사 준비 : 우수 무렵에는 본격적인 농사 준비를 시작합니다. 씨앗을 고르고 밭을 갈며, 한 해 농사를 계획합니다.
- 봄맞이 : 우수는 봄이 시작되는 절기이므로, 사람들은 봄맞이 나들이를 떠나거나 봄나물을 캐어 먹으며 봄을 맞이합니다.
- 대동강 물이 풀린다 :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우수 무렵이 되면 날씨가 따뜻해져서 얼었던 강물이 녹기 시작합니다.
4) 우수의 음식
우수에는 다양한 제철 음식들이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몇 가지를 소개해 드릴게요.
- 봄나물 : 냉이, 달래, 쑥, 봄동 등 다양한 봄나물이 싹을 틔우는 시기입니다.
봄나물은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여 겨우내 부족했던 영양분을 보충해 줍니다.
- 해산물 : 바지락, 딸기, 아귀, 한라봉 등이 제철입니다.
바지락은 칼국수, 죽, 술찜 등으로 다양하게 즐길 수 있으며, 딸기는 비타민 C가 풍부하여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줍니다.
- 오곡밥과 나물 : 우수가 있는 달에는 대보름이 있어 오곡밥과 말린 나물을 함께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오곡밥은 다섯 가지 곡식을 섞어 지은 밥으로 영양가가 높고, 말린 나물은 겨울 동안 부족했던 섬유질을 보충해 줍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우수와 관련된 특별한 음식을 챙겨 먹지는 않지만,
제철 봄나물이나 과일을 섭취하며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봄맞이 나들이를 떠나 맛있는 음식을 즐기거나,
집에서 봄 분위기를 내며 특별한 요리를 만들어 먹는 것도 좋은 방법이니까요~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우수'는 봄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우수가 되면 날씨가 따뜻해지고 만물이 소생하는 것을 보며 사람들은 새로운 시작을 다짐하고 희망을 품습니다.
봄나물, 해산물, 오곡밥 등 다양한 음식을 즐기며 건강하고 활기찬 봄을 맞이해 보세요.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우수'를 이상과 같이 이해해 보았습니다.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춘'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춘(立春)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은 2월 04일에서 05일에는 남부지방에서부터 봄을 알리기 시작합니다.- 입춘대길 건양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동'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동(立冬)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겨울 시작을 알리는 입동인 11월 07일에는 영하권 추위를 보이고 있습니다.추분에서 46일이면 입동(立冬)인데, 초목이
bewall2401.com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동지' 이해하기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동지(冬至)에 대해 이해해 보려 합니다.한 해에 가장 마지막 절기이자, 북반구에서는 낮이 제일 짧은 날인 동지가 12월 21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대설(大雪)과
bewall2401.com
'소소한 잡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스키의 기본개념과 종류 – 초보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 (2) | 2025.02.20 |
---|---|
화이트데이의 의미와 유래! 왜 남자가 선물하는 날일까? (1) | 2025.02.19 |
2025년 최신 입학선물 추천! 초등학교부터 대학생까지 (7) | 2025.02.03 |
25년 설날 다양한 인사말과 덕담을 알아 보실까요? (1) | 2025.01.27 |
계절의 변화를 세분화한 24 절기 중 '입춘' 이해하기 (2)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