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요8

성공의 세상엔 평등한 건 없다. 파레토는 19세기 수학적 모델을 만들었다. 파레토는 이탈리아 경제학자로 이탈리아의 소득분배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만들었다. 예를 들어 20퍼센트의 사람들이 전국 토지의 80퍼센트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부는 공평하게 분배되지 않으며,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한곳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파레토의 법칙이다. 결과적으로 중력의 법칙만큼이나 현실적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중요성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저도 별로 안 믿었다. 노력하는 수많은 사람 중에 20프로만 80프로 좋은 결과를 얻는다. 믿거나 말거나 이겠지만 개연성이 높고 예측가능한 자연의 법칙이자 가장 훌륭한 생산성의 진실 중 하나인 것이다. 성공의 세상에는 평등한 건 없다. 80/20의 법칙은 소수의 원인, 입력 또는 노.. 2024. 1. 20.
인생은 질문이다. 우리가 원하는 건 답인데 왜 질문에 집중해야 하나? 답은 질문에서 나오고, 답의 질은 질문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잘못된 질문을 알면 잘못된 답을 얻고, 올바른 질문을 하면 올바른 답을 얻는다. 최대한 효과적인 질문을 던지자. 그렇게 얻은 답은 나의 인생을 바꿀 수 있다. 탐험가나 발명가들도 모두 세상을 바꿀 질문들로 자신의 도전을 시작했다. "사람을 대답이 아닌 질문으로 판단하라." - 철학자 볼테르 - "신중한 질문은 지혜의 절반을 차지한다." - 철학자 프란시스 베이컨 - "질문할 수 있는 힘은 인류 진보의 첫걸음이다." - 인도 여성 총리 간디 - "때로는 질문이 답변보다 더 중요하다" - 작가 낸시드 월러드 - 또한 나의 임금(My Wage)-제시 리텐하우스라는 시 중에서 ".. 2023. 6. 29.
짧게 가느냐, 길게 가느냐? 개인적 삶에서 중심이 흔들리는 경우 간격을 짧게 두고 수시로 중심을 잡자. 짧게 가면 가장 중요한 모든 것들과 관계를 잃지 않으면서 그것들을 함께 움직여 나갈 수 있다. 직업적 삶에서 오랜 기간 활동하면서, 탁월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불균형 상태를 유지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받아들여라. 길게 간다면 어떨까? 길게 가면 우선순위가 떨어지는 다른 것들을 희생시키는 한이 있더라도 가장 중요한 것에 집중할 수 있다. 개인적 삶에서는 버리고 가는 것이 있게 하고 반대로 직업적 삶에서는 그렇게 해야 한다. 삶이라는 게임에서 5개의 공을 저글링 하고 있다고 상상해 보자. 그 공은 일, 가족, 건강, 친구, 정직이다. 그리고 내가 그것들을 모두 떨어뜨리지 않고 성공적으로 저글링 하고 있다. 하.. 2023. 6. 21.
버리고, 선택하고, 집중하자. 진정으로 중요한 일에 집중하면 다른 무언가는 항상 제대로 처리되지 않는다. 균형이 안 잡혔다고 말하는 건 대체로 우리에게 중요한 것, 즉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들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중요하지 않은 어떤 일들을 미완성이 채로 남기는 것은 탁월한 성과를 얻기 위해 반드시 치러야 할 대가와 같다. 하지만 모든 것을 미완의 상태로 남겨두면 안 된다. 이럴 때 바로 중심 잡기가 필요하다. 단, 한참을 지나쳐 돌이킬 수 없을 때 나중에 돌아왔을 때 내가 기다리는 것이 아무것도 없을 정도로 오래 걸리지 않으면 된다. 습관적인 야근이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다. 하루에 11시간 이상 근무한 사람은 심장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67퍼센트가 높다. 중심 잡기는 정신뿐 아니라 신체적 건강에도 큰 영향을 준다. .. 2023. 6. 20.
의지만 있으면 못할 일이 없다. 의지력을 이용하면 성공은 내 것이다. 이 말을 믿고 야심 차게 움직였다면 그리 길게 가지 못할 수 있다. 처음에 목표가 별 것 아닌 것처럼 의지를 가지고 덤벼들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기운이 쭉 빠지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 언제나 의지력이 충만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의지력이 어떤 순간에 하늘을 뚫을 것만 같다가도 또 다른 순간에는 연기처럼 사라져 버린다. 결국 의지력은 제멋대로 나타났다 사라진다. 부르면 언제든 나타나는 온전한 의지력을 바탕으로 성공을 쌓는다는 전략은 효과가 없다. 의지력은 늘 꺼내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동기가 아무리 강하다 해도 의지력은 늘 내 곁에서 나의 부름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 아니다. 의지력이 늘 발휘될 수 있다는 말은 거짓말이다. 사람들은 보통 의지력이 중요하다고만 .. 2023. 6. 9.
평등이란 거짓이다. 실질적 결과가 존재하는 현실세계에서 평등한 건 없다. 심판이 공정하려 애써도 시합의 결과는 평등할 수 없다.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들도 똑같은 재능을 가진 사람은 없다. 모든 사람을 평등하게 대해도 성과의 세상에서 모든 것이 똑같이 중요할 수 없다. 평등이란 거짓이다. 모든 훌륭한 의사결정의 기반이 이 전제를 이해하는 것이다. 실제 나의 의사결정을 살펴보자. 어렸을 때는 누군가가 특정시간에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 알려주고, 따르기만 하면 되었다. 학교 갈 시간, 숙제할 시간, 식사할 시간 등등.. 나이가 들면서 재량권이 늘어나기 시작하고 어른이 되면 모든 일에 나의 선택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나이를 먹을수록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이라고 믿는 건 점점 더 쌓이기만 한다. 할 일이 엄청나게 늘어나고,.. 2023.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