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3 나에게 맞는 습관을 선택하자. 02 나에게 맞는 습관을 선택하기 위해 범위를 좁혀보자. 가장 큰 만족감을 줄 만한 습관과 영역의 범위를 계속해서 좁혀나가기 위해 아래와 같은 질문을 해야 한다. 1. 무엇을 하면 재미있을까? 다른 사람들에게도 재미있을까? 어떤 일이 맞다는 건 내가 그 일을 좋아하느냐가 아니라 그 일에 따르는 어려움을 다른 사람보다 쉽게 다룰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다른 사람이 불평불만을 하는 동안, 내가 그 일을 즐기고(만족) 덜 힘들다면, 그곳이 가야 할 곳이다. 2. 무엇인 시간 가는 걸 잊게 하는가? 몰입은 어떤 일에 집중했을 때 돌입하게 되는 정신적 상태로, 이 상태에 진입 시 나머지 세계는 희미하게 사라져 버린다. 행복함을 느낌과 동시에 최상의 성과를 내는 상태로, 운동선수나, 공연하는 이들은 '존'에 들어갔다고 .. 2023. 5. 8. 재미와 보상 두마리 토끼를 잡는법 만족스럽게 만들어라. 우리는 경험이 만족스러울 때 그 행동을 더 반복해서 하곤 한다. 비누로 손을 씻을 때 향기로운 냄새가 나고 거품이 잘 나는 것 같은 아주 사소한 일일지라도 즐거운 감정운 강한 신호가 되어 뇌에 이런 말을 속삭인다. '느낌이 좋네. 다음에 또 해야겠어~' 즐거운 감정은 어떤 행동이 나중에 다시 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 뇌에게 가르쳐 준다. 맛도 있고 씹는 재미를 만드는 추잉껌도 마찬가지였다. 초기 검 상품들은 특징 없는 합성수지로 만들어 질겅질겅 씹히는 느낌은 있어도 맛이 첨가되지 않았다. 여기에 리글리라는 회사는 스피어민트, 주시프루트 같은 향을 첨가하여 추잉검계에 혁명을 일으켰다. 맛과 씹는 재미를 고객에게 만들어 주고 입안을 상쾌하게 만드는 상품으로 홍보를 하여 엄청난 매출을 올리.. 2023. 4. 25.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제목의 이유 이 영화를 보며 나름 너무 재밌었지만 "왜 제목을 이렇게 지었지?" 하며 궁금했었다. 아래의 첨부 기사를 읽고 바로 이유를 알게 되었다. http://thechangeground.com/archives/19555 왜 제목을 이렇게 붙였을까? 처음 이 제목을 보았을 때 떠오른 것은 노인빈곤율 같은 사회 문제였다. 그래서 나름 현실적이면서도 어둡고 무거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가진 영화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영화를 보고 나 thechangeground.com 제목을 짓는 사람과 제목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사람들 모두 대단해 보인다. 나도 그런 깨달음을 언제가 깨우쳤으면 하는데 앞으로도 계속 영화를 꾸준히 보며 역량을 키워야겠다. 다시 한번 영화를 이해하는 깊이가 다른 사람들을 존경한다. [문화 탐방] - 2.. 2022. 2.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