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측3 착각과 실수의 진짜이유? 한 번에 2가지 일을 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결과는 2가지 일이 따로 분리된다. 즉, 2가지 행동 모두 100퍼센트 집중할 수 없다. 하나는 집중한 상태에서, 또 다른 하나는 집중하지 않는 상태에서 일어난다. 한 번에 2가지 일을 할 수는 있지만 한 번에 2가지 일에 모두 효과적으로 집중할 수는 없다. 한 번에 2가지 일을 하면 집중력이 분산된다. 한 번에 2가지 일에 집중할 때 어느 한 가지 작업이 더 많은 집중력을 요구하거나, 이미 사용 중인 두뇌통로와 상충될 때 문제가 일어난다. 한 번에 2가지 이상의 일을 하려 애쓰는 것은 집중력을 분산시켜 그 2가지 모두에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멀티태스킹이 우리의 두뇌를 어떻게 합선시키는지 살펴보자. 1.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두뇌용량에는 .. 2023. 6. 4. 행동의 바탕에는 열망이 있으며, 더 깊은 곳에는 동기가 있다. 행동의 바탕에는 표면적으로 열망이 자리하며, 더 깊은 곳에는 동기가 있다. 열망은 동기를 드러내고 있는데 더 깊은 수준에서 우리는 불확실성을 줄이고 불안을 경감시키며 사회적 인정과 포용을 획득하거나 지위를 얻고 싶어 한다. 새롭게 만든 자신의 습관을 들여다보면 거기에 새로운 동기가 있는 게 아니라 인간 본능 깊숙한 곳에 내재된 동기가 있다. 사랑을 찾고 후손을 남긴다(동기) = 데이트 앱을 이용한다.(해결, 습관)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고 유대를 맺는다 = 페이스북을 검색한다. 사회적 인정과 포용을 획득한다. = 인스타그램 포스트를 작성한다. 불확실성을 줄인다. = 구글을 검색한다. 지위와 명예를 얻는다 = 비디오 게임을 한다. 우리의 습관은 과거부터 이어져 내려온 욕망의 현대판 해결책이다. 인간행위의 기.. 2023. 4. 5. '좋아하는 것'보다 '원하는 것'에 끌린다. 과학자들은 열망이 발생하는 정확한 순간을 추적할 수 있다. 바로 도파민이라 불리는 신경전달물질을 측정하는 것이다. 습관은 도파민이 주도하는 피드백 순환작용이다. 정크푸드 섭취, 비디오게임하기, 소셜미디어 검색등 고도로 습관화된 행동은 모두 높은 도파민 수준과 관계가 있다. 음식을 섭취하고, 물을 마시고, 성행위를 하고, 사회적 소통을 하는 등 우리가 기본적이며 습관적으로 하는 행동 역시 같다고 말할 수 있다. 습관에 대해 기억해야 할 내용은 도파민은 즐거운 경험을 할 때뿐만 아니라 즐거움 경험이 예상될 때도 분비된다는 점이다. 도박중독자들이 도박에서 돈을 딴 후가 아니라 베팅을 하기 '직전'에 도파민이 분비된다. 도파민 수치가 올라가면 행동의 동기가 생겨난다. 결국 우리를 행동하게 만드는 것은 보상에 대.. 2023. 3.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