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습관5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는데 66일이 필요하다. 습관을 만드는 것은 처음에만 힘들다. 습관을 유지하는 데는 에너지와 노력이 훨씬 덜 들어간다. 어떤 행동을 하나의 습관으로 바꿀 정도로 오래 유지하면 그때부터 여정이 다르게 느껴질 것이다. 삶의 일부가 되도록 하나의 습관을 확립하자. 그러면 힘이 훨씬 덜 들이고도 일상이 효과적으로 바뀔 것이다. 힘든 일이 습관이 되면 습관은 그 힘든 일을 쉽게 만든다.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기까지 평균 66일이 걸린다. 2009년, 런던대학교에서 실시한 연구한 결과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기까지 평균 66일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짧게는 18일, 길게는 254일까지 다양했지만 행동이 습관으로 정착하는데 평균 66일이 걸렸고, 쉬운 행동은 그보다 더 짧게, 힘든 행동은 더 오래 걸렸다. 올바른 습관을 기르는 데는 시간.. 2023. 6. 8. 새로운 습관을 시작할 때 2분 이하로 하라. '2분 규칙'을 활용해 보자. 새로운 습관을 시작할 때 그 일을 2분 이하로 해보자. '매일 밤 침대에 들기 전에 책을 읽어야지'는 '1페이지를 읽어야지'로 바꾼다. '오늘 요가를 해야지'는 '오늘 요가 매트를 깔아야지'로 바꾼다. '수업시간에 공부를 해야지'는 '노트를 펼쳐야지'로 바꾼다. 이러한 개념은 습관을 최대한 시작하기 쉽게 만드는 것이다. 1분 명상, 한 페이지 독서, 운동복 입기는 누구나 할 수 있다. 일단 시작하면 이 일은 계속하기 쉬어지기 때문이다. 새로운 습관은 무언가를 도전하는 것과 같은 기분이 들어서는 안된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우리를 생산적인 길로 자연스럽게 이끌어주는 '습관 관문'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계획을 세울 때 '무척 쉬운 것'에서 '무척 어려운 것'의 척도를 이용해 아.. 2023. 4. 18. 삶에서 마찰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보다는 마찰을 줄이는 것이 우선이다. 습관마찰을 효율적으로 줄여보자. 습관과 관련해 마찰을 줄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환경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새로운 습관을 '어디서' 실행할지 결정할 때, 이미 우리의 일상적인 행동이 이뤄지고 있는 곳을 선택하면 된다. 퇴근길 중간에 체육관이 있다면 운동하러 더 가기가 쉽다. 이는 체육관 앞에 멈추어 서는 일이 생활패턴과 크게 마찰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집이나 직장에서 효율적으로 생활하는 것도 마찰을 줄이는 일이다. 일본의 회사들은 '린 생산법'이라 알려진 방식을 강조했는데 생산방식에서 일어나는 온갖 종류의 낭비를 끈질기게 제거하면서 작업환경을 재구축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작업자들이 몸을 돌리면 작업도구에 바로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낭비되는 시간이 없게 하였다. 그 결과 일본 공장들은 .. 2023. 4. 12. 습관쌓기 새로운 습관을 세우는 방법을 알아보자. 새로운 습관을 세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미 매일 하고 있는 현재의 습관이 무엇인지 파악한 다음 그 위에 새로운 행동을 쌓아 올리는 것이다. 이것이 습관 쌓기(=habit stacking)인데 특별한 형태의 실행의도이다. 새로운 습관을 특정 시간, 특정 장소와 짝짓는 것이 아니라 현재 습관에 짝짓는 것이다. 습관 쌓기의 공식은 아래와 같다. [현재의 습관]을 하고 나서 [새로운 습관]을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의 습관은 아래와 같다. 명상 : 매일 아침 커피 한잔을 내리고 나서 1분 동안 명상을 할 것이다. 운동 : 퇴근 후 외출복을 벗고 나서 곧바로 운동복으로 갈아입을 것이다. 습관 쌓기의 핵심은 해야 할 행동을 이미 매일 하고 있는 행동과 짝짓는 것이다. 이.. 2023. 3. 21. 인생은 생각하는 만큼 바뀐다. 인간의 뇌는 예측 기계이다. 뇌는 지속적으로 우리가 처한 환경을 받아들이고 거기서 우연히 접한 정보들을 분석한다. 응급실 의사가 심장마비 환자의 얼굴을 본다든지, 미술관 큐레이터가 모조품을 감각적으로 골라낼 수 있다는 등의 사례에서 무언가를 반복적으로 경험하면 뇌는 어떤 것이 중요한지를 인지하고, 상세내용을 분류한 다음 관련 신호들을 포착해서 장차 사용할 정보를 저장해 둔다. 따라서 충분히 연습을 한다면 의식적으로 그 일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서도 특정 결과를 암시하는 신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이다. 뇌는 경험을 통해 습득한 교훈들을 자동적으로 저장한다. 습관을 시작하기 위해 반드시 어떤 신호를 인지해야 하는 건 아니다. 기회를 포착하고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행동을 취할 수 있기에 습관은 .. 2023. 3.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