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가4

작업전환에는 대가가 따른다. 집중력 결핍은 인간의 본능이다. 하루에 평균 4,000개의 생각이 수시로 머릿속을 넘나 든다. 14초에 한 번씩 생각에 변화가 생기는 것이 집중력이 떨어지는 원인이라 본다면 우리가 지속적으로 한 번에 많은 일을 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무슨 일을 하는 동안에도 단 몇 초만 지나면 생각이 또 다른 쪽으로 넘어간다.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저글링(여러 개의 공을 차례로 던져가며 곡예를 부리는 일)하려는 욕구는 우리의 유전자 속 깊은 곳에 들어 있을 뿐 아니라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일지 모른다. 하지만 저글링은 멀티태스킹이 아니다. 저글링은 곡예사가 한 번에 공 3개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것처럼 보인다. 자세히 보면 빠른 속도로 한 번에 한 개의 공을 잡았다 위로 던지는 식이다... 2023. 6. 3.
습관의 반격 습관은 '숙련'의 토대를 이룬다. 무슨 일을 하려고 애쓸 때 간단한 동작들을 무의식적으로 잘할 수 있을 때 다음 단계의 세부사항들에 집중할 여유를 갖는다. 습관 역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어떤 일을 훌륭히 해나가는 과정의 근간이 된다. 하지만 습관에는 이점이 있지만 치러야 할 대가도 있다. 먼저 반복은 유창함, 속도, 기술을 증진시킨다. 그 이후 습관이 자동화되면 우리는 피드백이 무뎌지기 시작한다. 아무 생각 없이 반복하는 상태에 빠져 자신이 모르는 새로운 실수를 저지르기 쉽다. 즉, 그 일을 자동적으로 잘 해낼 수 있게 되면, 어떻게 하면 그 일을 더 잘할 수 있을지 고민하지 않게 된다. 특히 자잘한 실수를 주의하지 않게 되며, 자신이 더 나아진다는 착각을 하게 된다. 잠재력을 최대로 끌어올려 엘리트 수.. 2023. 5. 14.
강력한 행동을 끌어내는 7가지 질문 - 06. 행동을 연기할 경우의 대가 Q06. 행동을 연기함으로써 금전적 • 감정적 • 물리적으로 어떤 대가를 치르고 있는가? 우리는 행동에 따르는 잠재적인 단점만 생각해선 안 된다. 행동하지 않음에 따르는 끔찍한 비용 또한 구체적으로 측정할 줄 알아야 한다. 지금 당신을 열광하게 하는 목표를 추구하지 않는다면 1년, 5년, 10년 후 어떤 모습일까? 어쩔 수 없이 앞으로 10년이라는 소중한 시간 동안 전혀 성취감을 느끼지 못하는 일을 계속해야만 한다면? 10년 후가 실망과 후회로 가득한 길이 되리라는 사실을 100퍼센트 확신할 수 있다면, 당장 뾰족한 대안이 떠오르지 않는다 해도, 지금 때려치워라. 때려치우는 것도 하나의 가치 있는 행동이다. 내가 행동을 미룰 때를 상상해 보자. 내가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를 추구하지 않는다면 단기간에 현재.. 2022. 12. 20.
위험 없이는 기적도 없다. 어떤 일이던 처음 시작할 때, 두려움이 생긴다. 회의를 주관할 때, 누군가를 새로이 만나야 할 때, 여러 사람을 대상으로 발표를 할 때, 낯선 곳으로 여행을 떠날 때, 내가 구상한 일을 할 때들이 있을 수 있다. 만약 두려움이 생기지 않는다면, 그 일은 나에게 만만하거나 도전할 가치가 없는 일일 수 있다. 문뜩 내가 쉽게 어떤 일을 했는데, 다른 사람들이 놀라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반대로 내가 두려운 마음을 억누르며 힘들게 했는데, 다른 사람들이 대수롭지 않게 일을 한 적이 있다. 이럴 경우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었는지?, 무엇을 놓치고 있었는지?'를 고민해야 할 것 같다. 이 세상에 안전한 건 없지만 기회도 있다. 보도 셰퍼의 '돈'에서는 말한다. 이 세상에 확실하게 안전한 건 없다. 단지 기회가 .. 2022.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