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통화위원회2

221221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기저효과, 기준금리 1. 기저효과 기저효과(base effect)는 경제지표 증가율을 해석할 때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부풀려지는 등의 왜곡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즉 호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현재의 경제 상황을 비교할 경우 경제지표는 실제보다 위축된 모습을 보이는 반면, 불황기의 경제 상황을 기준시점으로 비교하면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부풀려져 나타날 수 있다. 기저효과는 물가 상승률을 설명할 때도 자주 이용된다. 예를 들어 지난해 여름에 태풍 피해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였다면, 전년 동기 대비로 계산한 올해 여름의 농산물 가격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것이다. 반대로 지난해 가을 기상여건 호조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과일 가격이 폭락하였다면 올해.. 2022. 12. 21.
221013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이해 - 기준금리 vs 예금금리 vs 대출금리 [금리의 정의] 금리는 돈을 빌릴 때 적용되는 이자율 [금리의 종류] 금리유형 설 명 기준금리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돈을 빌려줄때 적용하는 금리 ex)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돈을 빌려줄때, 그에 대한 대가로 연 2%의 이자를 지급하라고 요구했다면 기본금리는 2%가 됨 예금금리 예금에 붙는 이자 또느 그 비율로 시중은행이 해당고객의 예금에 대하여 예금자에게 지급하는 금리 가산금리 시중은행이 개인이나 기업과 같은 고객에게 돈을 빌려줄때, 기준금리에 더해지는 금리 시중은행은 돈을 빌리는 개인이나 기관의 재정 건정성과 성장 가능성등을 토대로 신용도를 평가하고 이를 기준으로 가산금리를 차별적으로 적용함 우대금리 시중은행은 개인이나 기업을 대상으로 예금을 받고, 일부분을 다시 자금이 필요한 개인이나 기업에게 대출을.. 2022.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