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를 이루기 위해, 상상을 현실화하는 방법 2번째를 활용해 보자.
저번 시간에 이어 상상을 현실화하는 방법을 추가로 더 알아보자.
추가로 할 수 있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습관으로 만들면 강하게 끌어당기게 되고 목표대비 이른 기간에 현실화 가능성이 높다.
저번에는 1)~4)까지 언급을 했는데 이번에는 5)~10)까지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고 이해해 봐야겠다.
5) 노트에 목표를 적는다.
간다 마사노리의 추천방법이다.
성공하기 위해 29, 128, 600개 등의 목표 설정을 적는다.
- 가장 큰 목표부터 곁가지로 뻗어 나오는 목표, 전혀 다른 분야의 목표물까지 하나둘씩 생각날 때마다 적어보자.
ex) 간다 마사노리 목표 중 "총리가 내 책을 읽고, 너무 잘 봤다며 나에게 전화를 한다"까지도 적음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그리고 잠들기 직전 한 번 읽어본다. 노트를 항상 가방에 지니고 다니자.
새로운 일을 시작하려면 잠재의식이 막게 되는데 의식이 개입하기 직전인 자기 전, 일어날 시기에 새로운 프로그램을 입력해야 하며, 내가 내 목표를 가지고 다니는다는 의식을 각인시킨다.
6) 1,000번씩 90일 동안 연속으로 말하기
100번씩 100일 동안 하는 것과 난이도가 유사하고 높다.
시간은 1시간 정도 걸리며 상황이 여의치 않을 시 끊어서 해야 한다.
무의식에 각인시켜야 하며 1960년대 맥스웰 몰츠라는 의시가 '성공법칙'에서 21일의 법칙을 언급하였다.
- 인간의 뇌는 충분히 반복되어 시냅스가 형성되기 전까지는 안 하던걸 하게 되면 강한 저항을 일으키게 되는데 그 이유는 아직 그 행동을 입력해 놓을 기억세포가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새로운 행동이 '습관화'되는 데는 최소 21일이 소요된다. 즉 21일은 우리 뇌에 '습관'을 각인시키는 단계이다.
이 습관을 통해 우리 무의식에 각인시키는 데는 90일이 소요되며 이것은 새로운 습관을 자기 것으로 만든데 걸리는 시간이다.
7) 아침에 일어났을 때 오늘 하루를 이미 겪은 것처럼 감사하기
치트가 같은 방법, 기상 시 상상하면서 기분이 좋아지면서 긍정에너지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다.
시작한 하루는 대부분 좋은 결과를 이룬다.
무언가를 갖고 싶을 때 선불로 지불하듯이 감사한 결과에 대해서도 선불감사를 해보자.
ex) '오늘은 ~ 어땠어서 진짜 감사했다'라고 하자.
감사한 결과를 갖고 싶고, 그래서 선불로 감사하고, 그 결과를 받는 것이다.
8) 셀프 하이파이브 하기
내가 한 번도 하이파이브를 해본 적 없는 사람인 스스로와 하는 것이다.
매일 하는 것보다 가끔 해보고 싶은 날, 욕실 안 거울 속의 나와 하이파이브한다.
할 일 있을 때, 응원을 할 때 등 긍정적, 밝은 행동으로 할 때 좋은 기분과 에너지를 제공한다.
9) 작은 끌어당김으로 끌어당김 자체를 익숙하게 만들기
1)~4)는 중장기 목표로 하는데 '네빌 고다드'가 언급한 일주일간 사다리 타기를 예시로 작고 소소한 목표로 상상하고 이루어진 경험을 해보면 끌어당김의 법칙에 대해 확신도 생기고, 자신감도 붙는다.
10) 아침에 일어나서 이불 정리하기
미국 전 해군대장 윌리엄 맥레이븐의 연설 중 "인생을 바꾸고 싶다면 아침에 일어나서 이불 정리부터 시작해라"라고 이야기되면 화제가 되었다.
아무것도 이룬 날이 없을 때 가지런한 이불을 보는 순간 아무것도 이룬 날이 아니라는 걸 깨닫게 된다.
끌어당김의 법칙을 잘 설명해 주는 유튜브를 소개하며 2부작+@으로 감상해 보면 좋을 듯하다.
+ @ 세부이행방안이 아래 링크이다.
가장 큰 영광이 어떨 때 일어날지 이해하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가장 큰 영광은 실패할 때마다 다시 일어서는 것이다.
1년 전 오늘 이 시간, 나는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가장 큰 영광은 한 번도 실패하지 않음이 아니라 실패할 때마다 다시 일어서는 데에 있다. - 공자 - 1년 전 오늘 이 시간, 나는 무엇을 하고 있었
bewall2401.com
상상이 어떻게 현실이 되는지 1번째 이야기를 이해하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상상이 현실화 될 때까지 끌어당김의 법칙 활용하기
부를 이루기 위해, 상상을 현실화하는 방법들은 여러 책을 통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ㄱ가장 유명한 책이 '시크릿'이고 실제 성공한 사람들은 이미 실행하고 있다. 특히 켈리최 님의 웰씽킹도 대
bewall2401.com
성공의 세상에 평등함이 없다는 사실을 명확히 아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성공의 세상엔 평등한 건 없다.
파레토는 19세기 수학적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파레토는 이탈리아 경제학자로 이탈리아의 소득분배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20퍼센트의 사람들이 전국 토지의 80퍼센트를
bewall2401.com
'나의 성장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들의 지식을 복리로 쌓는 초격차 독서법-01 평균 매일 1권씩 읽자. (0) | 2024.02.13 |
---|---|
가장 큰 영광은 실패할 때마다 다시 일어서는 것이다. (0) | 2024.02.04 |
성공의 세상엔 평등한 건 없다. (2) | 2024.01.20 |
단 하나를 위한 3가지 약속 (2) | 2024.01.19 |
방해물 정리의 기술 (0) | 2024.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