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율4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외환보유액, 외환시장 1. 외환보유액 외환보유액(Official Reserve Assets)은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국제수지 불균형을 보전하거나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보유하고 있는 교환성이 있고 유동성이나 시장성이 높은 대외지급준비 자산을 말한다. 그러므로 외환보유액은 긴급한 상황에서 쓰기 위해 갖고 있는 비상금과 같은 성격의 준비자산으로 외환보유액은 환율 급등 시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재원으로 이용될 뿐 만 아니라 금융기관의 해외차입이 어려워지는 신용위기 상황에서 중앙은행 등이 최종대부자(last resort)의 역할을 하기 위한 재원이 된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현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선진국 국채등 외화증권이나 예치금과 같은 유동성과 안정성이 높은 자산으로 운용되고 있다. 외환보유액은 .. 2023. 1. 22.
221118 나는 주식 대신 달러를 산다 05. 달러 투자 메커니즘 ■ 달러 투자 메커니즘 1. 달러 투자를 잘하는 방법으로 투자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도 알아두어야 함 가위바위보 게임에서 남자는 가장 처음 주먹, 여자는 가위를 내는 확률이 높다고 함 한 사람이 2번 이상 같은 모양을 낼 경우는 세 번째는 다른 모양으로 낼 확률이 높음 앞서 말한 1. 달러 투자 타이밍을 기준으로 달러 투자를 시작하는 상황이 올 때 달러를 사라~ 2. 복리의 마법 주식투자에서 자본금 1,000만 원으로 하루 5% 수익 시 1년이면 (5% * 240일(1년 중 개장일수)) 1,200% 임 : 1,000만원으로 1억 2,000만 원 수익이라 생각할 수 있겠지만 1,000만 원의 5%는 50만 원, 기존 투자금에 50만 원을 더하면 1,050만 원의 5%는 52만 5,000원임, .. 2022. 11. 18.
221020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이해 - 원달러환율, 달러지수 [원달러 환율] 우리나라의 원화와 미국의 달러화의 교환 비율 [달러지수] 1973년 3월 기준 100으로 하여 세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의 평균가치를 비율로 산정해 지수화한 지표 (통화의 비중은 유로화 57.6%, 영국 파운드 11.9%, 캐나다의 달러 9.1%, 스웨덴의 크로나 4.2%, 스위스의 프랑 3.6%) 유로화가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기에, 달러 대비 유로화의 가치가 상승하면 달러지수는 하락하는 구조다. 즉, 달러투자는 미국 경제발전에 베팅하는 투자 ※ 원,달러 환율은 달러의 가격이 아닌, 원화와의 교환 비율이다. 이에 대해 기본 이해가 부족하면 환율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달러와 원화 가치는 물론, 돈의 흐름도 읽기 어렵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원리를 간단히 알아야 할 필요가 있.. 2022. 10. 20.
221003 환율과 금리인상에 따른 10년만에 올 큰 기회 부동산 빅데이터 전문가 리치고 김기원 님이 월부에서 인터뷰한 내용을 청취해보고 요약해본다. 환율과 금리가 인해 혼란스러운 현재 시장속에서도 10년에 한 번 오는 기회가 23년에 어느 시점에 온다고 하는데 그 내용이 뭔지 들여다 보고자 한다. (아래 내용은 김기원 님의 말을 정리하고, 내 짧은 생각을 중간중간 넣어본다.) 1. 현 시장분석 현재 10월 3일 기준 환율이 원달러 기준 1,414원에서 오르락 내리락 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1,400원대에서 환율을 방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실제로 시장의 본질적 에너지를 정부가 규제할 수 없다. 환율은 어디까지 오를지 예상을 못하고 있는바, 1997년 IMF(고점, 1,995원) 나, 2008년 금융위기(고점, 1,598.65원)까지 오를 거라 추정하고 있다.. 2022.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