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은행2

221021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이해 - 가산금리 기준금리에 신용도등의 차이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 (또는 스프레드,Spread)라 한다. ex) 은행이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위험에 따라 조달금리에 추가하는 금리를 말한다. 한편 만기가 길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기간 가산금리(텀 스프레드, Term Spread)라고 하는데 이것도 일종의 스프레드이다. 통상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 즉 스프레드가 커진다. 한편 채권시장에서는 비교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라고 한다. 보통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 때 동일한 만기의 미국 국채(Treasury Bond)나 리보(LIBOR, 런던은행간 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 등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서 발행되는게 보.. 2022. 10. 21.
221013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이해 - 기준금리 vs 예금금리 vs 대출금리 [금리의 정의] 금리는 돈을 빌릴 때 적용되는 이자율 [금리의 종류] 금리유형 설 명 기준금리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돈을 빌려줄때 적용하는 금리 ex)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돈을 빌려줄때, 그에 대한 대가로 연 2%의 이자를 지급하라고 요구했다면 기본금리는 2%가 됨 예금금리 예금에 붙는 이자 또느 그 비율로 시중은행이 해당고객의 예금에 대하여 예금자에게 지급하는 금리 가산금리 시중은행이 개인이나 기업과 같은 고객에게 돈을 빌려줄때, 기준금리에 더해지는 금리 시중은행은 돈을 빌리는 개인이나 기관의 재정 건정성과 성장 가능성등을 토대로 신용도를 평가하고 이를 기준으로 가산금리를 차별적으로 적용함 우대금리 시중은행은 개인이나 기업을 대상으로 예금을 받고, 일부분을 다시 자금이 필요한 개인이나 기업에게 대출을.. 2022.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