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기2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한계비용, 헤지펀드 1. 한계비용 한계비용은 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더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의 증가분을 의미한다. 즉 비용증가분을 생산증가분으로 나눈 값이다. 예를 들면, 생수 100병을 생산하는데 10,000원의 비용이 소요된다면 생수 1병의 평균생산비용은 100원이다. 추가로 생수 한 병을 더 생산하여 101병, 102병을 생산할 때 비용이 각각 10,080원, 10,150원이라면 생수 101병째의 한계비용은 10,080원 - 10,000원 = 80원, 102병째의 한계비용은 70원이 된다. 생산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 비용이 얼마나 소요되는 가도(10,080원→10,150원) 중요하지만 생산을 늘림에 따라 증가하는 추가적 비용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80원, 70원) 살피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생.. 2023. 2. 9.
투기가 아닌 투자를 하자. 대부분의 사람들은 앞으로 흉년이 절대 들지 않을 것처럼 산다. 나도 그러한 삶을 살았다. 문제는 흉년은 반드시 온다라는 것이다. 불과 얼마 전만 하더라도 월급으로 벌이가 괜찮은 직업이 있으면 평생 큰 어려움이 없었고, 은퇴한 뒤에도 국가와 회사가 주는 연금으로 어느 정도 보장이 되었지만 지금과 미래엔 과거처럼 할 수 있을지 장담을 못한다. 점점 사회는 노령화되고, 그에 따른 의료보험 지출도 늘어나며 연금은 필요한 자금을 더 이상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그 재원이 고갈되어 가고 있다. 흉년이 오게 되면 많은 이들이 어려움을 겪게 된다. 많은 이들이 이 시기 증시나 부동산 등에 손을 대어 큰돈을 손해를 본다. 대부분 투자가 아니라 투기를 했기 때문이다. 중요한 건 현실을 즉시하고 투자와 투기를 혼동하지 말아.. 2022.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