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스트2

의지력은 미래의 성공을 가르키는 지표이다. 마시멜로 테스트를 아는가? 1960대 말~1970대 초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의 월터 미셸박사가 4살짜리 아이들을 괴롭히는 실험에 착수했다. 일명 '마시멜로 테스트'로 아이들에게 프레첼, 쿠키 그리고 악명 높은 마시멜로가 주어졌다. 그런 다음 연구원이 잠시 나가 있는 15분 동안 그것을 먹지 않고 기다리면 같은 과자를 하나 더 주겠다고 말했다. 지금 먹으면 하나밖에 먹을 수 없지만 기다리면 나중에 두 개를 먹을 수 있다는 뜻이었다. 결과적으로 평균 3분을 못 버티고 아이들이 먹기 시작했다. 10명 중 단 3명만이 연구원이 복귀할 때까지 버티었다. 여기서 의지력이 강한 자와 약한 자의 차이가 나타났다. 의지력이 강한 자와 약한 자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성장함에 따라 학습 부분이나, 사회성 부분에서 의지력이 강.. 2023. 6. 10.
영원한 결정은 없다. 영원한 결정은 없다. 언제나 말은 쉬운데 행동이 어렵다. 대부분은 해야 될 일이 뭔지를 알지만 알면서도 하지 않는 건 모르는 것과 같다. 행동하면 배운다. 기다리면 정체된다. 결정할 때 최종 결정이라고 생각하지 말자. 모든 결정을 실천하기'전'이 아니라 실천하면서 수정과 조정이 가능한 일련의 테스트로 가정하면 결정하고 실천하는 자연스러운 '흐름' 속에 빠져들 수 있다. 중대한 결정은 일련의 이런 작은 결정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더 큰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작은 결정부터 해야 한다. 그런 과정에서 몰랐지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몇 가지 개선을 포함해서 결정을 수정한 필요가 생기며 테스트를 반복하면 개선과 반복이 이루어진다. 최종적인 결정은 부담과 스트레스를 준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떤 결정도 최종적이지.. 2023.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