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타이밍3

도미노를 세우자. 성공은 간단하다. 도미노를 활용해 옳은 일을 옳은 방식으로, 옳은 타이밍에 하면 된다. 습관이 무엇인지 다들 알고 있다. 습관은 고치기도, 새로 만들기도 힘들다. 하지만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항상 새로운 습관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전과는 다른 행동방식으로 시작하고 그것을 오랜 기간에 걸쳐 유지할 때 비로소 새로운 습관이 생긴다. 이때 우리가 마주하는 선택은 삶에서 원하는 것을 가져다줄 습관을 만드냐 그렇지 않느냐이다. 그런 습관을 원한다면 도미노를 활용한 초점탐색 질문이야 말로 우리가 가질 가장 강력한 성공습관이라 말할 수 있다. 초점탐색 질문은 삶의 방식과도 같다. 나의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 업무를 찾을 때, 내게 주어진 시간을 최대로 활용할 때, 그리고 투자금액 대비 가장 큰 효과를 얻어야.. 2023. 7. 5.
의지력이 가장 강할때 가장 중요한 일을 하자. 의지력도 관리가 필요하다. 우리가 의지력을 잃은 이유는 그것에 대해 생각하기 때문이 아니리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의지력이 생겼다가 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 못 하면 그대로 생겼다가 사라지는 것을 그대로 방치하게 된다. 매일 의식적으로 그것을 보호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한순간 의지력이 충만하다가도 다음 순간에 의지력도, 나아갈 길도 보이지 않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의지력의 강도에도 정도가 있다. 핸드폰 배터리 표시등처럼 우리에게 '의지력도'도 있고 '포기력'도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이 더 힘들어지는 것도 모른 채 가장 중요한 일에 '포기력'을 쓰곤 한다. 의지와 결의가 성공에 쓰이는 중요한 자원임을 모르고 가장 중요한 일에 그것을 남겨 두지 않거나 바닥이 났을 때 채워주지 않으면 성.. 2023. 6. 15.
의지력은 미래의 성공을 가르키는 지표이다. 마시멜로 테스트를 아는가? 1960대 말~1970대 초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의 월터 미셸박사가 4살짜리 아이들을 괴롭히는 실험에 착수했다. 일명 '마시멜로 테스트'로 아이들에게 프레첼, 쿠키 그리고 악명 높은 마시멜로가 주어졌다. 그런 다음 연구원이 잠시 나가 있는 15분 동안 그것을 먹지 않고 기다리면 같은 과자를 하나 더 주겠다고 말했다. 지금 먹으면 하나밖에 먹을 수 없지만 기다리면 나중에 두 개를 먹을 수 있다는 뜻이었다. 결과적으로 평균 3분을 못 버티고 아이들이 먹기 시작했다. 10명 중 단 3명만이 연구원이 복귀할 때까지 버티었다. 여기서 의지력이 강한 자와 약한 자의 차이가 나타났다. 의지력이 강한 자와 약한 자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성장함에 따라 학습 부분이나, 사회성 부분에서 의지력이 강.. 2023. 6.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