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존심2

정체성을 작게 유지하자. 습관을 반복하는 것은 정체성의 증거를 쌓는 일이다. 그러나 새로운 정체성에 사로잡히게 되면 다음 단계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부정적으로 작용하면 정체성은 자신의 약점을 부정하고 진정한 성장을 가로막는 일종의 '자존심'을 만들어낸다. 이는 습관을 세울 때 커다란 문제가 된다. 가수는 감동적인 첫 번째 앨범을 만들어내고 틀에 박힌 앨범을 발표한다. 외과의사는 자기보다 어린 동료들의 의견을 무시한다. 우리가 어떤 정체성을 고수할수록, 그것을 넘어 성장하기는 힘들어진다. 퇴역군인들이나, 전직기업가들이 고정된 정체성으로 '나는 위대한 군인이야', '나는 CEO야'라 규정하지만 퇴직 후는 과연 정체성 상실로 인해 충격이 올 것이다. 충격을 줄이려면 자신을 재규정해 보자. 이러한 충격을 줄이려면 자신이 해왔던 특.. 2023. 5. 16.
"나는 틀렸다"의 힘 많은 이들이 생각을 바꾸는 걸 '약점'이라고 생각한다. 이로 인해 처음 결정이 약해질 거라 생각한다. 이런 식으로 나쁜 결정에 집착하며 결정을 더 악화시키고 합리적 이유 없이(자존심이나 신념을 지키는 것 외에) 완고해지고 융통성이 없는 사람이 된다. 결국 나쁜 결정을 더 나쁘게 만들거나, 좋은 결정으로 바꾸지 못한다. 생각을 바꾸는 건 (5초마다 바꾸지 않는 이상) 약점이 아니라 강점이다. 그것은 스스로 과거에 집착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자존심을 배제한 채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그런 모습은 내가 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따라서 생각을 바꾸거나 결정을 발전적으로 개선하는 기술은 결과를 성취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발전하기 위해선 변해야 한다. 완벽해지기 위해서도 종종 변.. 2023.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