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6 초점탐색 질문은 삶의 단 하나를 찾아준다. 초점탐색 질문은 삶의 여러 분야에서 나만의 단 하나를 찾도록 도와준다. 초점을 맞추고 싶은 분야를 집어넣어 초점탐색 질문을 달리 표현하기만 하면 된다. 정신적 행복, 신체적 건강, 개인적 생활, 핵심인간관계, 일, 회사, 재정적 문제 등등.. 그리고 질문을 던질 때도 바로 그 순서대로, 바로 앞의 것이 그다음 것의 기반이 되도록 한다. 또한 '지금 당장'이나 '올해'같은 표현을 넣어 시기를 정해주면 적당한 수준의 긴장감을 부여할 수 있다. '5년 내에'나 '최종적으로' 같은 단어를 써서 장기적 목표로 안내할 큰 그림을 찾을 수도 있다. 자기 자신에게 던질 수 있는 몇 가지 초점탐색 질문이 있다. 해당분야를 먼저말하고 그다음 질문을 만든 뒤 시기를 덧붙인다. 마지막으로 '그것을 함으로써 다른 모든 일을 쉽.. 2023. 7. 6. 짧게 가느냐, 길게 가느냐? 개인적 삶에서 중심이 흔들리는 경우 간격을 짧게 두고 수시로 중심을 잡자. 짧게 가면 가장 중요한 모든 것들과 관계를 잃지 않으면서 그것들을 함께 움직여 나갈 수 있다. 직업적 삶에서 오랜 기간 활동하면서, 탁월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불균형 상태를 유지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받아들여라. 길게 간다면 어떨까? 길게 가면 우선순위가 떨어지는 다른 것들을 희생시키는 한이 있더라도 가장 중요한 것에 집중할 수 있다. 개인적 삶에서는 버리고 가는 것이 있게 하고 반대로 직업적 삶에서는 그렇게 해야 한다. 삶이라는 게임에서 5개의 공을 저글링 하고 있다고 상상해 보자. 그 공은 일, 가족, 건강, 친구, 정직이다. 그리고 내가 그것들을 모두 떨어뜨리지 않고 성공적으로 저글링 하고 있다. 하.. 2023. 6. 21. 버리고, 선택하고, 집중하자. 진정으로 중요한 일에 집중하면 다른 무언가는 항상 제대로 처리되지 않는다. 균형이 안 잡혔다고 말하는 건 대체로 우리에게 중요한 것, 즉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들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중요하지 않은 어떤 일들을 미완성이 채로 남기는 것은 탁월한 성과를 얻기 위해 반드시 치러야 할 대가와 같다. 하지만 모든 것을 미완의 상태로 남겨두면 안 된다. 이럴 때 바로 중심 잡기가 필요하다. 단, 한참을 지나쳐 돌이킬 수 없을 때 나중에 돌아왔을 때 내가 기다리는 것이 아무것도 없을 정도로 오래 걸리지 않으면 된다. 습관적인 야근이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다. 하루에 11시간 이상 근무한 사람은 심장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67퍼센트가 높다. 중심 잡기는 정신뿐 아니라 신체적 건강에도 큰 영향을 준다. .. 2023. 6. 20. 균형에 집착하는 현실 역사적으로 균형 잡힌 현실은 특권계층만이 생각할 수 있었다. 수천 년 동안 우리에게 일이 곧 삶이었다. 일을 하지 않으면 동물을 사냥하고, 곡식을 추수하고, 가축을 기르지 않으면 목숨을 부지할 수 없었다. 잉여 식량을 생산하던 농장기반 사회로부터 전문적이고 특수집단이 만들어졌다. 즉, 식량을 직접 찾아다니거나 직접 곡물을 기르는 일에서 해방된 후 사람들은 학자가 되고 기술자도 될 수 있었다. 처음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필요와 야망에 따라 일을 했다. 말굽을 가는 일이 끝나면 언제든 집에 갈 수 있었다. 그러다 19세기 산업혁명으로 인해 수많은 사람이 최초로 다른 누군가의 밑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근로자를 사정없이 밀어붙이거나, 1년 내내 쉼 없이 돌아가는 근로 스케줄, 24시간 불이 환하게 켜진 공.. 2023. 6. 17. 균형 잡힌 삶이란 거짓이다. 절대적 균형이란 세상에 없다. '균형 잡힌 상태'처럼 보이는 것은 그 차이가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미세할지 몰라도 균형을 잡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하고 있는 과정에 불과하다. '균형'은 겉으로 볼 때 명사이지만 사실 동사처럼 움직인다. '균형'은 궁극적으로 우리가 손에 놓을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가 끊임없이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과정의 일이다. '균형 잡힌 삶'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곰곰이 생각해 보지 않은 채 달성가능한 훌륭한 '목표'인 것처럼 받아들이는 잘못된 개념일 뿐이다. 균형 잡힌 삶이란 거짓말이다. 이러한 삶은 개념에 지나지 않는다. 정말 원대한 생각이긴 하나 그다지 실용적이지 않다. 즉 이상적일 뿐 현실적이지 않다는 의미이다. 많은 사람들이 '내 삶에 균형이 필요해.. 2023. 6. 16. 삶의 모든 영역에서 정기적인 청소와 정리를 하면 번영이 온다. 삶의 모든 영역에서 정기적인 청소와 정리가 필요하다. 일과 휴식과 놀이의 균형을 잡기 위해서 강도 높고 깊게 집중한뒤에 반드시 회복기간을 가져야 한다. 공간과 마음을 정기적으로 정리하고 청소하는 게 중요한데 이걸 핑계로 꾸물거려서는 절대 안 된다. 마음과 몸과 산만함과 잡음을 일으키는 모든 공간을 청소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다음전략을 고려해 보자. 1분 동안 계획을 세우면 5분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주기적이고 계획적인 정리와 청소 역시 마찬가지 효과를 낸다. 아래와 같이 실천해 보자. 1. 보이는 곳에서 모든 잡동사니를 없애기 1) 빠른 청소와 정리 2) 가끔 사무실과 집 대청소 실시 2. 1년에 한두 번씩 전체 일정을 완전히 정리하기 약속검토, 취소, 다시 잡기 3. 기기 청소하기 (이메일, 앱, .. 2023. 2.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