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관계약2 습관계약을 이행하자. 습관계약은 왜 이행해야 하는가? 법과 규제는 어떻게 정부가 사회적 계약을 만들어내는지 보여주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특정한 규칙을 지키는데 집단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특히 우리의 습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인데 안전벨트 법안, 식당 내 급연 법안, 재활용 의무같이 새로 입법된 규칙들은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우리의 습관을 형성하는 사회적 계약이라 할 수 있는데 집단은 특정한 방식으로 법안에 동의하고, 개인은 이 룰을 안 지키면 처벌을 받는다. 정보가 법을 이용하 듯, 우리도 스스로 책임감 유지를 위해 습관계약을 맺을 수 있다. 습관계약은 특정한 습관을 따르고, 그것을 따르지 않을 경우 벌을 받겠다는 취지를 구두로, 서면으로 남기는 것이다. 그리고, 그 계약을 승인해 줄 수 .. 2023. 5. 4. 경험을 불만족스럽게 만들어라. 어떤 경험이 만족스럽게 끝나면 그 경험은 훨씬 더 많이 반복된다. 반대로 불만족스럽고 고통스럽게 끝나면 그 경험을 피하려고 할 것이다. 고통은 효율적인 스승이다. 실패가 불만족스럽고 고통스럽다면 이는 수정된다. 실패가 상대적으로 고통스럽지 않다면 무시된다. 실수가 즉각적이고 비용이 들수록 더 빨리 배울 수 있다. 식당은 고객이 다시 찾지 않을까 봐 맛있는 음식을 내놓는다. 외과의사는 다른 혈관을 건드렸을 때, 치러야 할 대가가 너무 크기 때문에 해부학을 환 벽하게 숙지하고 조심스럽게 수술을 집도한다. 어떤 행동에 따른 고통이 즉각적일수록 그 행동은 덜 하게 된다. 나쁜 습관, 건강하지 않은 습관을 버리고 싶다면 그 행동에 대한 즉각적인 대가를 치름으로써 그 일을 할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좋다. 우리는 나.. 2023. 5.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