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과13

기적은 항상 극단에서 일어난다. 균형을 향한 욕구가 생기는 건 당연하다. 모든 일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생기고, 모든 일이 제시간에 마무리된다는 것은 그 생각만으로도 마음이 편안해지고 고요해진다. 이러한 평온함이 너무나도 현실적으로 느껴져서 우리 삶은 당연히 그래야만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균형과 중도의 관계를 알아보자. 균형이 곧 중도라고 생각한다면 불균형은 곧 중도에서 멀어지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중도에서 멀어지면 극단적 삶을 살고 있는 셈인 것이다. 그러나 중도적 삶을 살 때는 어떤 일이든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 힘들어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모든 일에 관심을 쏟으려 하다 보면 그 모든 일에 대한 노력이 부족해지고, 제대로 완수되는 일이 없게 된다. 중도적 삶을 살아도 괜찮은 때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 2023. 6. 18.
의지력이 가장 강할때 가장 중요한 일을 하자. 의지력도 관리가 필요하다. 우리가 의지력을 잃은 이유는 그것에 대해 생각하기 때문이 아니리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의지력이 생겼다가 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 못 하면 그대로 생겼다가 사라지는 것을 그대로 방치하게 된다. 매일 의식적으로 그것을 보호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한순간 의지력이 충만하다가도 다음 순간에 의지력도, 나아갈 길도 보이지 않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의지력의 강도에도 정도가 있다. 핸드폰 배터리 표시등처럼 우리에게 '의지력도'도 있고 '포기력'도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이 더 힘들어지는 것도 모른 채 가장 중요한 일에 '포기력'을 쓰곤 한다. 의지와 결의가 성공에 쓰이는 중요한 자원임을 모르고 가장 중요한 일에 그것을 남겨 두지 않거나 바닥이 났을 때 채워주지 않으면 성.. 2023. 6. 15.
멀티태스킹은 허상이다. 멀티태스킹은 효과적이지도, 효율적이지도 않다 흔히 멀티태스킹을 잘하는 사람들이 하는 일들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착각하지만 실제 관련 없는 일에 푹 빠져서 시간을 보내곤 한다. 여러 시험들에서 그렇게 하는 사람들의 성과는 뒤떨어지며, 비효율적이게 되었다. 멀티태스킹은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최근의 트렌드상 멀티태스킹은 많은 사람들이 해야만 하거나, 최대한 자주 해야 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한 번에 여러 일을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자주 듣고 이렇게 할수록 일이 더 잘된다는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이건 삶의 방식이 아니라 삶의 '허상'이다. 즉, 멀티태스킹은 효율적이지도, 효과적이지도 않다. 성과가 모든 걸 말해주는 이상 한 번에 두 가지 일을 하려고 하면 그중 하나도 잘하지 못하는 경우가 .. 2023. 6. 1.
중요한 일만 파고들자. 사람에게 주어진 시간은 모두 공평하게 하루 24시간이다. 왜 어떤 이들은 다른 이들보다 더 많은 일을 해낼까? 그들은 어떻게 더 많은 일을 하고, 더 많은 것들을 이루며, 더 많이 벌고, 더 많은 것을 소유하는가? 원하는 일이 어떤 거든 최고의 성공을 원한다면 접근방법은 늘 같은 방식이어야 한다. 핵심 속으로 파고들어야 한다. '파고든다는 것'의 의미를 아는가? '파고든다는 것'은 곧 자신이 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일을 무시하고 반드시 해야 하는 일에만 집중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모든 일의 중요성이 똑같지 않음을 인식하고, 가장 중요한 일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것이 자신이 '하는 일'과 자신이 '원하는'일을 연결 짓는 아주 단호한 방식이기도 하다. 탁월한 성과는 당신의 초점을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와.. 2023. 5. 18.
100번만 반복하면 그게 나의 무기가 된다. 사소한 변화 하나가 나의 삶을 바꿀 수 있다. 초기의 작고 미세한 발전은 의미가 없어 보인다. 너무나 작은 변화라 주목할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다. 하지만 점차적으로 작은 변화들을 하나씩 쌓게 되면 인생의 저울을 움직이게 된다. 각각의 작은 성공들은 미세한 모래의 무게를 갖지만 서서히 나에게 좋은 방향으로 기울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일을 계속해나가다 마침내 티핑포인트를 맞이한다. 최대 100번이라도 해볼까? 갑자기 좋은 습관을 꾸준히 하는 게 쉽게 느껴지는 것이다. 성공은 도달해야 할 목표나 결승점이 아니다. 발전하기 위한 시스템이고, 개선을 위한 끝없는 과정이다. 이미 말했듯 습관을 바꾸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문제는 내가 아니다. 문제는 나의 시스템이다 나쁜 습관을 계속 반복되는데 이는 내가 변화하.. 2023. 5. 17.
똑똑한 사람들의 습관 관리법 01 나쁜 습관을 벗어나는 최고의 방법은 그 일을 하기 어렵게 만드는 것이다. 그 행동에 대한 선택지가 없어질 때까지 마찰을 늘려야 한다. 사장이 직원들을 변화시키려고 애쓰기보다 선호하는 행동이 자동적으로 일어나게끔 유도하는 것이다. 물론 사전에 노력이 필요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증가한다. 한 가지 선택으로 계속 그에 따른 보상이 일어난다는 것이 무척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좋은 습관을 정착시킬 수 있는 일회성 행동들을 주목해야 한다. 일반적인 사람이라면 아래의 목록의 행동들이 단순히 해보는 것(일회성 행동)만으로도 1년 동안 삶이 더 나아질 수 있다고 한다. 자신의 습관에 대해 별다른 생각 없이 실행했다고 해도 말이다. 이런 일회성 행동들은 3번째 행동변화 법칙을 손쉽게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것들.. 2023.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