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적4 변화를 위한 최소한의 시간 하루 동안 우리의 행동의 40~50퍼센트는 습관 외의 행동들로 이뤄진다. 습관의 진정한 영향력은 이런 퍼센트 숫자가 제시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크다. 습관은 자동적으로 의식적인 결정들에 영향을 미친다. 하나의 습관은 단 몇 초 만에 완성될 수 있지만 이후 몇 분 또는 몇 시간 동안 우리가 취할 행동을 결정하게 됩니다.. 습관은 고속도로 진입로와 같다. 습관은 무의식 중에 이미 우리를 어떤 길로 이끌고, 다음 행동으로 빠르게 질주하게 한다. 어려운 뭔가를 시작하기보다는 이미 하고 있는 것을 계속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배가 부르지만 군것질을 계속할 수 있으며, '잠깐' 스마트폰을 확인하려 하지만 어느새 20분 동안 여기에 매달려 있다. 이렇게 우리가 생각 없이 하는 습관들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하는 선택을 결정.. 2023. 4. 17. 25분 동안 집중해서 일하고 5분 쉬기를 반복하자. 포모도르 기법을 아는가? 최대한 집중력과 신선한 창의성을 제공하는 철학으로 포모도르 기법이라 부른다. 공부를 할 때 밤새워서 하는 건 효과가 없다고 한다. 시간 관리 전문가인 프란체스코 시실로의 연구에 근거하여 토마토(포모도르, 이태리어) 모양의 주방 타이머로 10분을 설정한 뒤, 그 10분 동안은 다른 어떤 일도 하지 않고 오로지 공부에 매진했다고 한다. 타이머가 울려서 쉴 수 있을 때까지 집중했고, 결과적으로 휴식시간을 가지면서 많은 공부를 했다고 한다. 포모도르 기법의 2가지 효과이다. 1. 짧은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일하면 꾸준한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2. 규칙적으로 휴식을 취하자. 그래야 동기를 강화하고, 창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어떤 중대한 일에 직면했을 때 짧은 시간 동안 열심히 일을.. 2023. 1. 23. '무엇'보다 '언제'가 중요하다. 내가 추종하고, 내게 영향을 준 사람들의 행동을 따라 할 수 없다. 우리는 모두 다름으로 사람마다 하루의 리듬이 같을 수 없다. 무엇을 하느냐가 아니라 언제 하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에 나에게 최적인 수면시간, 그리고 식사시간 및 기분과 컨디션 변화에 따른 업무 집중시간 설정등을 테스트함으로써 이상적인 일과 체계를 재편성해봐야겠다. 나에게 맞는 효율적인 일과를 정하자. 몇 가지 일과를 테스트함으로써 각각의 일과가 나의 하루를 얼마나 생산적으로, 효율적이고 균형에 잡히게 만드는지 확인하고 나에게 맞는 일과를 정하자. 전체 일정을 짜고, 그 일정에 따라 일하고 쉬고 놀면서 자기 방식대로 살아보자. 아래 내용을 그것을 이행하는 방법이다. 1. 적은 시간 동안 더 많이 일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자. 2. 가장 중.. 2023. 1. 22. 바쁜 것인가, 생산적인가, 효율적인가? 스스로 바쁜 것인가, 생산적인가, 효율적인가를 진심으로 판단해 보자. 바쁘다는 건 열심히 많은 일을 한다는 뜻이다. 생산적이라는 건 가장 중요한 일을 끝낸다는 뜻이다. 효율적이라는 건 최단시간 내 중요한 일을 끝낸다는 뜻이다. 이러한 미묘한 차이를 인지하고, 내가 어떤 일을 하는지를 정확히 판단한다면 덜 바빠지면서 효율성은 높아질 수 있다. 잘못된 일을 최소한으로 축소하고 가장 중요한 일을 조금 더 열심히 한다면 효율성은 점점 더 높아질 것이다. 효율적으로 일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그러려면 스스로를 바쁘게 만들지만 생산성이 낮아지거나, 낭비를 발생시키는 문제나 분야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2주 동안 업무와 에너지 일지를 작성해 보는 것을 미국의 유명한 기업가이자 작가인 '페리 마셜'이 추천한다. .. 2023. 1.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