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변동금리2

230102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변동금리, 보완재 1. 변동금리 변동금리란 시장금리를 반영하여 일정 주기별로 약정금리가 변하는 금리를 의미하며 고정금리란 최초 약정한 금리가 만기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금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만기 1년, 약정금리는 4% 고정금리라면 약정기간 1년 동안 시장금리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해당 약정금리는 4%이다. 반면 만기 1년, 변동주기 3개월, 약정금리는 CD금리+0.5% (또는 50bp)의 변동금리라면 3개월에 한 번씩 변동된 CD금리에 연동하여 약정 금리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CD금리가 최초 약정 시 3.0%, 약성 3개월 후 3.2%, 6개월 후 3.5%, 9개월 후 4.0%라면 약정금리는 최초 약정 시 3.5%, 약정 3개월 후 3.7%, 6개월 후 4.0%, 9개월 후 4.5%가 된다. 자금 차입자 입장.. 2023. 1. 2.
경제 뉴스로 보는 경제용어 이해 - 고용률, 고정금리, 변동금리 [고용률]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고 있는 경제활동 인구조사에서 집계된 15세이상 인구(노동가능인구)에 대해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한편 실업률은 경제활동 인구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고용률은 실업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고용통계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즉, 고용통계에서 취업준비자와 구직단념자는 실질적인 의미에서 실업자이나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고 있음으로 이들이 늘어나면 실업률이 낮아질 수 있어 체감하는 실업률과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용률은 15세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실업자와 비경제활동 인구간의 이동 등에 따른 경제활동 인구수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고용률도 근로시간이 18시간 미만인 단시간 근로자 및 일시.. 2022.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