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4 계속 해내는 힘은 어디서 오는가? 계속 이루어 내는 힘은 어디서 오는가? 동기를 유지하고 욕망을 최고로 달성하는 방법은 '관리 가능한 수준의 어려운 일'을 하는 것이다. 인간의 뇌는 도전을 좋아한다. 단, 어려움에 대해 최상의 '존' 상태에 있을 때 해당된다. 예를 들어 내가 달리기를 좋아하는데, 어린이와 시합을 한다던가, 전문적인 육상선수와 진지한 경기를 한다면 지겨워지거나, 빠르게 동기를 잃을 것이다. 자신과 비슷한 수준의 사람과 시합을 한다고 하면 시합 중 앞서거나, 뒤서거니 할 것이다. 점점 게임에 집중하면서 정신을 산만하게 만든 방해물이 사라지고, 완전히 자신을 몰입하게 만들 것이다. 이것이 어렵지만 관리 가능한 수준의 도전인 '골드락스 법칙(Goldilocks Rule)'이다. 골디락스 법칙이란 인간은 자신이 할 수 있는 적합.. 2023. 5. 12. 나에게 맞는 습관을 선택하자. 02 나에게 맞는 습관을 선택하기 위해 범위를 좁혀보자. 가장 큰 만족감을 줄 만한 습관과 영역의 범위를 계속해서 좁혀나가기 위해 아래와 같은 질문을 해야 한다. 1. 무엇을 하면 재미있을까? 다른 사람들에게도 재미있을까? 어떤 일이 맞다는 건 내가 그 일을 좋아하느냐가 아니라 그 일에 따르는 어려움을 다른 사람보다 쉽게 다룰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다른 사람이 불평불만을 하는 동안, 내가 그 일을 즐기고(만족) 덜 힘들다면, 그곳이 가야 할 곳이다. 2. 무엇인 시간 가는 걸 잊게 하는가? 몰입은 어떤 일에 집중했을 때 돌입하게 되는 정신적 상태로, 이 상태에 진입 시 나머지 세계는 희미하게 사라져 버린다. 행복함을 느낌과 동시에 최상의 성과를 내는 상태로, 운동선수나, 공연하는 이들은 '존'에 들어갔다고 .. 2023. 5. 8. 크게 생각하고 작게 시작하자. 목표에 압도당하지 말자. 반드시 이루어야 할 큰일이 있으면 나에게 동기부여가 될 큰 목표를 세워야 하지만 그 목표에 압도당하지 말자.큰 목표를 정한 뒤 일단 내버려 두자. 처음엔 아주 작은 단계부터 시작해 보자. 도토리가 자라서 참나무가 된다.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 100번 쓰기도 1번 쓰기부터 시작한다. 오히려 알고도 하지 않는 건 모른 것과 똑같다. 큰 결정은 마음으로, 다짐으로 하되 작은 결정은 머리로 하자. 책 한 권을 쓰기는 힘들지만 첫 번째 문장을 쓰기는 쉽다. 현재의 순간에 신경을 쓰고, 그 순간에 몰입한다면 미래는 알아서 풀릴 것이라 믿는다. 시간이 지나면서 목표를 향한 걸음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다. 지금 시작하고 나중에 완벽해지자. 큰 일일수록 작게 시작해야 바로 시작할 수 있다. 할 .. 2023. 1. 16. 멀티태스킹의 함정 스스로에게 '멀티태스킹'을 하고 있다는 거짓말을 쉽게 한다. 나는 한 번에 2가지 이상의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면서 여러 다른 일을 해야 하는 다채로운 삶을 즐긴다. 어떤 사람들은 멀티태스킹이 능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나 스스로도 그렇다고 확신하고 좋아한다. 하지만 하지 않고 건너뛰는 일은 바로 '휴식'이다. 멀티태스킹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멀티태스킹은 의식적으로 관심을 두지 않고서 적극적으로 중요한 일을 해내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운동을 하면서 팟캐스트를 듣는다면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멀티태스킹이다. 회의도중 전혀 다른 다른 일로 누군가에게 문자를 보내는 건 멀티태스킹이 아니다. 장거리 비행을 하며 글을 쓰거나 책을 읽는 것은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멀티태스킹이다. 상대방과 대화를.. 2023. 1.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