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화스왑
통화스왑이란 외환스왑과 마찬가지로 거래당사자간에 서로 다른 통화를 교환하고 일정기간 후 원금을 재교환하기로 약정하는 거래를 말한다.
통화스왑도 자금 대차거래라는 점에서는 외환스왑과 비슷하나 이자지급 방법과 계약기간에 차이가 있다. 외환스왑은 주로 1년 이하의 단기자금 조달 및 환리스크 헤지 수단으로 이용되는 반면 통화스왑은 주로 1년 이상의 중장기 환리스크 및 금리리스크 헤지 수단으로 이용된다.
이자지급 방법에 있어서도 외환스왑은 스왑기간 중 해당통화에 대해 이자를 교환하지 않고 만기시점에 양 통화간 금리차이를 반영한 환율(계약시점의 선물환율)로 원금을 재교환하나, 통화스왑은 계약기간 중 이자(매 6개월 또는 매 3개월)를 교환하고 만기시점에 처음 원금을 교환했을 때 적용했던 환율로 다시 원금을 교환한다.
통화스왑의 거래과정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A은행이 B은행과 현물환율 1,200원에 미 달러화 1천만 달러를 통화안정계정 • 지급하고 원화를 수취한 후 만기시점에 원금을 재교환하는 통화스왑계약을 하였다고 하자.
거래시점에 A은행은 B은행에 1천만 달러를 지급하는 대가로 원화 120억원 (=1,200 원 ×10,000,000달러)을 수취한다. 이후 계약기간 중 원화금리를 지급하고 미 달러화 금리를 수취하게 되며 만기시점에 A은행은 B은행으로부터 1천만 달러를 돌려받고 원화 120억원을 상환함으로써 거래가 종료된다.
통화스왑은 보유외화자산의 수익률을 높이거나, 외화자금 조달시 차입자가 각각 유리한 국제금융시장에서 기채한 후 필요한 통화로 교환함으로써 차입비용을 절감하거나, 장기차입에 따른 환율 및 금리변동 리스크를 회피하는 등의 목적으로 이용된다.
- 연관검색어 : 외환스왑거래
2. 투자은행
투자은행(investment bank)이란 상업은행(Commercial bank)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상업은행이 예금을 바탕으로 기업에 자금을 공급하는 전통적 은행업에 주력했다면 투자은행은 유가증권 인수를 통한 자금공급을 주업으로 한다. 쉽게 말해서 증권회사와 유사한데 자본시장에서 유가증권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주선 업무를 주로 하는 딜러 (dealer)나 중개인(broker)을 말한다.
당국의 엄격한 규제와 지원 하에 안정적으로 자산을 운용하는 상업은행과 대비되는 투자은행은 자기자본금을 활용하여 글로벌 금융시장에 과감히 투자했으며 자산관리, 모험자본, M&A 중개, 각종 파생상품 판매등 비교적 리스크가 높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리먼브러더스, 메릴린치, 베어스턴스 등 다수의 대표 투자은행들이 위기를 맞고 상업은행으로 합병 파산되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11년 자본시장통합법 제정 이후 금융투자회사의 대형화를 추진해 왔는데 2017년 11월 자기 자본이 4조원을 넘는 S개를 초대형 투자은행으로 지정하고 제한적으로 일부 단기금융업무를 허용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초대형투자은행으로 지정되고 단기금융업 인가를 받으면 자기자본의 2배 한도 내에서 발행어음 업무를 할 수 있고 동 어음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의 50%는 기업금융에 투자하도록 하였다.
- 연관검색어 : 자본시장통합법
'경제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한계비용, 헤지펀드 (0) | 2023.02.09 |
---|---|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평가절하, 표면금리 (0) | 2023.02.08 |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콜옵션, 테이퍼링(tapering) (0) | 2023.02.05 |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치킨게임, 카르텔 (0) | 2023.02.03 |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지주회사, 추심 (0)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