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제력2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를 할 필요는 없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 통제력이 우선이다. 흔히 성공한 사람은 '자기 관리가 철저한 삶'을 사는 '자신과 절대 타협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사람들의 인식이다. 하지만 그건 사실이 아니다. 사실 우리가 이미 가지고 있는 자기 통제력 외에 더 많은 것이 필요하지는 않다. 그저 그것을 옳은 방향으로 유도하고 조금 더 잘 관리를 해야 할 뿐이다. 성공은 단거리 경주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성공은 끊임없이 자기를 훈련시켜야 하는 마라톤 경기가 아니다. 성과를 올리기 위해 언제나 절제된 행동만 하고, 모든 면에서 자기 관리가 철저한 사람이 될 필요는 없다. 사실 성공은 단거리 경우이기에 건전한 습관이 자리를 잡을 때까지만 자신을 훈련시켜 달리는 단거리 전력질주 인 셈이다. 자기 통제력만으로 성공할 수 있다... 2023. 6. 6. 나에겐 결정을 올바르게 만들 수 있는 힘과 통제력이 있다. 결정을 내리는 것보다 결정을 '올바르게' 내리는데 무게를 두어야 한다. 좋은 결정도 잘못된 행동관리로 나쁜 결정으로 바뀔 수 있다. 반대로 나쁜 결정도 지속적인 좋은 결정과 올바른 행동으로 좋을 결정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내가 결정하기 애매한 상태라면 이것이 올바를지, 틀릴지 결정할 가능성이 반반이다. 일단 결정을 내렸으면 전에 언급했다시피 집중하고, 우선순위를 정해 끝내는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모든 결정은 다른 결정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맨 처음에 한 결정은 점차 잊히게 되며 내가 원하는 결과에 점점 다가갈수록 좋은 결정을 할 기회를 계속 얻게 된다. 또한 플랜 B를 준비하려고 노력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플랜 B를 마련해 두면 의지할 곳이 생기면서 플랜 A에 전력을 다해 집중하지 못할 수 있다. 대.. 2023. 2.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