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험4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큰 것이 나쁘거나 위험하다는 생각은 오래전부터 존재했다. 동화 빨간 망토에 등장하는 커다란 나쁜 늑대, 미국 컨트리 음악 속에 나오는 크고 나쁜 존(Big bad John), 소설과 영화 속의 빅 브라더(Big Brother). 옛날이야기부터 포크송에 이르기까지 큰 것이 나쁘거나 위험하다는 생각은 아주 오래전부터 고정관념처럼 존재해 왔다. 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큰 것이 위험할 수 있고 위험한 것이 클 수도 있지만, 그 둘은 동일한 단어가 아닐뿐더러 연관되어 있는 단어도 아니다. 큰 것이 위험하다는 말은 거짓이다. 어쩌면 세상에서 가장 심한 거짓말일지 모른다. 큰 성공을 두려워하면 성공을 피하거나 그것을 이루기 위한 노력을 멈출 수 있기 때문이다. 누가 큰 것을 두려워할 것인가? 우리가 목표 달성.. 2023. 6. 23.
멀티태스킹의 치명적 위험 운전 중 한눈팔기는 매우 위험하다. 이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가 사망사고 중 16퍼센트 이상이며 매년 50만 건에 달하는 부상을 일으킨다고 한다. (미국기준) 심지어 가벼운 통화도 음주운전을 하는 수준의 영향이라고 한다. 문자메시지로 온 가족이 탄 자동차가 거대한 트럭과 부딪히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 생명이 달려있는 문제에서 멀티태스킹은 치명적이다. 비행기 조종사나 의사가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할 때 다른 모든 것을 잊고 그 일에만 전념하길 바라며 당연히 그렇게 하는 게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우리들은 이중잣대를 대고 있는 게 아닌가?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을 하면서 대체 왜 멀티태스킹을 용납하는가? 우리는 가끔 스스로의 업무가 심장수술처럼 생사를 좌지우지 않는다고 해서 '집중'의 중요성을 간과하.. 2023. 6. 5.
시나리오 플래닝을 해보자. 시나리오 플래닝을 해보자. 우리의 뇌는 긍정적 감정보다 두려움을 훨씬 심각하게 받아들여 일어날지 모르는 일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을 많이 하게 한다. 이러한 두려움은 수천 년간 이어져 온 낡은 두려움이기 때문에 두려움을 통제하는 게 현명하다. 아래의 훈련이 부담, 책임감, 그리고 꾸물거림과 압박감을 더 완화시켜 준다. 1.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일을 자문하자. 진정 최악의 경우(Worst case)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생각하며 다양한 상황을 그려보자. 2. 최악의 경우, 일어날 법한 경우, 최선의 경우에 대한 시나리오 플래닝. 걱정을 최소화하며 선제적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3가지 시나리를 계획해 보자. 1) 최악의 경우 죽음, 공개망신등 극단적 상황은 일단 제외하고, 만약 내가 사업을 하기 위해 .. 2023. 2. 1.
위험 없이는 기적도 없다. 어떤 일이던 처음 시작할 때, 두려움이 생긴다. 회의를 주관할 때, 누군가를 새로이 만나야 할 때, 여러 사람을 대상으로 발표를 할 때, 낯선 곳으로 여행을 떠날 때, 내가 구상한 일을 할 때들이 있을 수 있다. 만약 두려움이 생기지 않는다면, 그 일은 나에게 만만하거나 도전할 가치가 없는 일일 수 있다. 문뜩 내가 쉽게 어떤 일을 했는데, 다른 사람들이 놀라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반대로 내가 두려운 마음을 억누르며 힘들게 했는데, 다른 사람들이 대수롭지 않게 일을 한 적이 있다. 이럴 경우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었는지?, 무엇을 놓치고 있었는지?'를 고민해야 할 것 같다. 이 세상에 안전한 건 없지만 기회도 있다. 보도 셰퍼의 '돈'에서는 말한다. 이 세상에 확실하게 안전한 건 없다. 단지 기회가 .. 2022.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