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하나4

직선코스로 가자. 01 나의 삶에 '단 하나'를 실행에 옮기고 탁월한 성과를 올릴 공식이 있다. 공식에 필요한 요소는 목적의식(Purpose), 우선순위(Priority), 생산성(Productivity)이다. 이 3요소의 연결을 통해 '단 하나'의 원칙을 2개의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중 하나는 크고, 다른 하나는 작다. 내가 가져야 할 '큰 단 하나'(Big One Thing)는 목적의식이다. 또 '작은 단 하나'(Small One Thing)는 그 목적의식을 행동으로 옮길 때 필요한 우선순위이다. 생산성이 높은 사람들은 목적의식에 의해 일을 시작하고 그것을 나침반과 같이 이용한다. 목적의식의 안내를 따라 자신의 행동을 좌우할 우선순위를 정한다. 이것이야말로 남다른 성과로 가는 가장 빠른 직선코스이다. 생산성은 목적의.. 2023. 7. 12.
단 하나의 개념을 생활에 접목해보자. '단 하나'의 개념을 일상생활의 일부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직장이나 삶의 다른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단 하나의 개념을 더욱 강력하게 만드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책을 통해 배운 경험 그리고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통해 알게 된 몇 가지 지혜를 발췌하여 정리해 본다. 1. 이해하고 믿자. 첫 번째 단계는 '단 하나'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고, 그다음은 그것이 우리 삶에서 큰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이해하고 믿지 못하면 행동으로 이어질 수 없다. 2. 개념을 이용하자. 오늘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다른 모든 것을 더욱 쉽거나 불필요하게 만들어 줄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하루를 시작하자. 그렇게 하면 무엇을 해야 할지 방향이 명확해진다. 3.. 2023. 7. 7.
초점탐색 질문은 삶의 단 하나를 찾아준다. 초점탐색 질문은 삶의 여러 분야에서 나만의 단 하나를 찾도록 도와준다. 초점을 맞추고 싶은 분야를 집어넣어 초점탐색 질문을 달리 표현하기만 하면 된다. 정신적 행복, 신체적 건강, 개인적 생활, 핵심인간관계, 일, 회사, 재정적 문제 등등.. 그리고 질문을 던질 때도 바로 그 순서대로, 바로 앞의 것이 그다음 것의 기반이 되도록 한다. 또한 '지금 당장'이나 '올해'같은 표현을 넣어 시기를 정해주면 적당한 수준의 긴장감을 부여할 수 있다. '5년 내에'나 '최종적으로' 같은 단어를 써서 장기적 목표로 안내할 큰 그림을 찾을 수도 있다. 자기 자신에게 던질 수 있는 몇 가지 초점탐색 질문이 있다. 해당분야를 먼저말하고 그다음 질문을 만든 뒤 시기를 덧붙인다. 마지막으로 '그것을 함으로써 다른 모든 일을 쉽.. 2023. 7. 6.
도미노를 세우자. 성공은 간단하다. 도미노를 활용해 옳은 일을 옳은 방식으로, 옳은 타이밍에 하면 된다. 습관이 무엇인지 다들 알고 있다. 습관은 고치기도, 새로 만들기도 힘들다. 하지만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항상 새로운 습관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전과는 다른 행동방식으로 시작하고 그것을 오랜 기간에 걸쳐 유지할 때 비로소 새로운 습관이 생긴다. 이때 우리가 마주하는 선택은 삶에서 원하는 것을 가져다줄 습관을 만드냐 그렇지 않느냐이다. 그런 습관을 원한다면 도미노를 활용한 초점탐색 질문이야 말로 우리가 가질 가장 강력한 성공습관이라 말할 수 있다. 초점탐색 질문은 삶의 방식과도 같다. 나의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 업무를 찾을 때, 내게 주어진 시간을 최대로 활용할 때, 그리고 투자금액 대비 가장 큰 효과를 얻어야.. 2023. 7.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