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환율제도2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평가절하, 표면금리 1. 평가절하 환율은 일반적으로 거래 대상물인 외국환(외국통화) 한 단위와 교환되는 자국통화의 양으로 정의되고 있는데, 원화절하는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여 외환의 가치가 상승하고 원화의 가치는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이때 환율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환율상승 또는 평가절하라고도 말한다. 그러나 평가절상(revaluation)이나 평가절하(devaluation), 또는 절상(appreciation)이나 절하(depreciation)의 의미는 일반적으로는 고정환율제도와 자유변동환율제도중 어느 환율제도를 채택하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즉 평가절상(또는 평가절하)은 고정환율제도하에서 정부가 정책적 목적 등으로 자국통화의 대외가치인 환율을 인위적으로 일시에 조정하였을 경우 사용되며, 절상(또는.. 2023. 2. 8. 221219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금본위제 ‘금본위제’란 각국의 통화가치를 순금의 일정한 중량으로 정해 놓고 금화의 자유로운 주조와 수출입을 허용하며 이를 지폐나 예금통화 등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金 사재기’ 중앙은행들, 금융위기 내다봤나···한은은 9년째 매입 중단 [조지원의 BOK리포트] [서울경제]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금(金) 사재기에 열중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대표적인 안전자산이자 통화가치 방어(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인 금을 경쟁적으로 사 v.daum.net 금본위제하에서 각국 통화는 금의 중량을 기준으로 그 가치가 정해져 있으므로 통화 간 교환비율은 금을 통하여 고정되며 따라서 금본위제는 전형적인 고정환율제도이다. 1800년대 영국의 금본위제 도입을 시작으로 독일,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 2022. 12.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