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단기금리차
장단기금리차란 일정 시점에서 장기금리와 단기금리의 차이를 의미한다.
장단기금리차는 다양한 만기의 지표금리를 이용해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시점에서 국고채금리(3년 만기)가 2.0%이고 한국은행 정책금리(1~7일 만기)가 1.5%라면 여기서 장단기금리차는 0.57p(2.0%~1.5%)이다. 또는 10년 만기 국고채금리와 3년 만기 국고채 금리의 차이도 또 하나의 장단기금리차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의 장단기는 통상 1년을 기준으로 하기보다는 비교하려는 만기의 상대성에 달려있다.
즉 후자의 예에서 10년을 장기로 보는 경우 3년은 단기의 의미로 비교된 것이다.
장단기금리차는 시장이 경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된다.
장단기금리차가 줄어들고 있다면(정책금리는 한국은행이 결정하기 때문에 새로운 정책금리 결정이 나오기 전까지는 변함이 없는 반면 장기금리는 하락) 이는 경제성장률이 떨어지고 실업률이 상승하는 등 향후 경제가 더 나빠질 것으로 시장이 기대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이런 상황에서 경기진작을 위해 한국은행이 정책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가 강화되는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다. 시장이 정책금리 인하를 극단적으로 기대하는 경우에는 3년 국고채금리가 한국은행 정책금리를 하회하는 현상도 발생한다.
이를 장단기금리 역전이라고 한다.
반대로 장단기금리차가 확대되고 있다면 향후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고 시장이 기대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에 근접하고 있어 한국은행이 정책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기대가 형성되는 경우 그 차이는 더욱 확대된다.
또한 장단기금리차는 채권의 수급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장기채권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면 장기금리가 하락하여 장단기금리차가 축소되고 장기채권의 공급 이 많아지면 장기금리가 상승하여 장단기금리차가 확대된다.
장단기금리차의 추세는 수익률곡선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가팔라지느냐(steepening) 아니면 더 평탄해지느냐(flattening)하는 것과 동일한 현상이다. 수익률곡선이 가팔라지면 장단기금리차는 확대되고 수익률곡선이 평탄해지면 장단기금리차는 축소되기 때문이다.
- 연관검색어 : 기준금리
2. 장외시장
장외시장(OTC; Over-The-Counter)이란 장내시장이 아닌 시장에서 중개기관을 통해 개별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을 말한다. 장내시장에서 거래가 되기 위해서는 금융상품이 표준화되어야 하는데 채권이나 단기금융상품 또는 파생상품은 표준화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채권은 국채, 지방채, 특수채, 금융채, 회사채, 자산유동화증권등 종류도 많은 데다 발행(잔존) 만기, 발행금리 및 신용도 등이 다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표준화하기 어렵다.
콜, 기업어음 등 단기금융상품이나 파생상품도 다양한 발행(잔존) 만기, 다양한 표면금리, 상이한 신용도 등으로 인해 표준화하기 곤란하다. 이러한 금융상품들은 표준화가 어렵게 때문에 장내거래를 하지 못하고 불가피하게 장외시장에서 거래가 이루어지게 된다.
장외거래는 보통 중개회사가 전화, 인터넷 메신저 등을 통해 매도 또는 매수를 원하는 투자자의 호가를 받은 후 반대거래를 원하는 상대방을 찾아 거래를 성사시킨다. 따라서 장내거래와는 달리 장외거래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중개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 연관검색어 : 장내시장
'경제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제로금리정책, 주가수익비율(PER) (0) | 2023.01.29 |
---|---|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전환사채, 정크본드 (0) | 2023.01.27 |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자기자본비율, 자발적 실업 (0) | 2023.01.25 |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유동성, 이중통화채 (0) | 2023.01.24 |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워크아웃, 원금리스크 (0) | 2023.01.23 |